“노후자금 투자처가 된 ELS”....60대 이상 개인투자자, 투자금의 41.7% 차지

입력 2018-12-17 12:00수정 2018-12-17 18: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ELS, 노후 자금의 투자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어”

주가연계증권(ELS) 등 파생결합증권이 국민 재테크 수단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이들 상품에서 60대 이상 개인투자자의 투자 비중이 40%가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사실상 ELS 등 파생결합증권 상품들이 고령 투자자들의 노후 자금의 투자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어, 이에 대한 투자자 보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ELS를 비롯한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 기타파생결합사채(DLB) 등 파생결합증권을 판매하는 증권사와 은행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6월 말 발행 잔액 101조 원 중 개인투자자 잔액은 47조2000억 원에 달했다. 이는 전체 잔액의 46.7%에 해당한다.

주목할만한 대목은 이들 개인투자자 중에서도 고령의 투자자 비중이 높다 점이다. 60대 이상 개인투자자 투자금액은 19조7000억 원으로, 전체 개인투자자 잔액의 41.7%를 차지했다. 40대와 50대는 각각 18.4%, 30.7%였으며, 30대 이하는 8.9%에 그쳤다.

연령대별 투자자 수도 60대 이상이 전체 투자자 수의 30.2%로 가장 많았으며 50대는 29.8%, 40대는 21.5% 순이었다. 특히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1인당 평균투자금액이 증가했다는 점에서 손실 가능성이 있는 ELS 등이 안정적으로 운용돼야 할 노후 자금의 투자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1인당 평균투자금액은 80대 이상이 1억7230만 원, 70대가 1억2300만 원, 60대 7530만 원 순이었다.

모든 연령대에서 투자 시 대부분 은행신탁을 이용했으며, 모든 연령대별로 신탁 비중이 최소 71% 이상으로 나타났다. 은행신탁이 상대적으로 증권사보다 접근성이나 편의성이 높은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통상 안정적인 투자성향을 보이는 70대 이상 고령 투자자의 투자 금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대비 16.3%로 높은 편”이라면서 “ELS는 원본 손실이 발생 가능한 고위험 상품으로서 투자 시 투자자 유의사항을 충분히 숙지 후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이와 관련해 금감원은 70세 이상 고령 투자자에게는 주가연계증권(ELS)에 투자할 경우 통상 이틀간의 숙려기간을 주는 ‘투자자 숙려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