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부터 65년 만에 한강하구 남북공동수로조사

입력 2018-11-05 09:03수정 2018-11-05 18: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연말까지 민간선박용 해도 만들고 자유로운 이동 군사적 보장 목표

남북이 65년 만에 한강(임진강)하구 공동이용수역에 대한 남북 공동수로조사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민간선박용 지도(해도)를 만들어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한다는 계획이다.

해양수산부와 국방부는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이하 9·19 군사합의)에 따라 5일부터 한강하구 공동이용수역에 대한 남북 공동수로조사에 나선다고 밝혔다. 공동수로조사 지역은 남측 김포반도 동북쪽 끝점으로부터 교동도 서남쪽 끝점까지, 북측 개성시 판문군 임한리부터 황해남도 연안군 해남리까지 70km 수역이다.

앞서 남북은 9ㆍ19 군사합의를 통해 한강하구에서의 민간선박 자유항행에 대한 군사적 보장을 합의하고 제10차 장성급군사회담을 통해 남북공동조사단 구성 및 공동수로조사 시행을 합의했다.

이에 남북은 군 관계자 및 수로전문가가 포함된 공동조사단을 남북 각각 10명으로 편성해 5일부터 공동 수로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수로조사란 음향을 이용해 선박에서 물 속 해저 바닥까지의 깊이를 측정한 후 조석에 의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바닷물 높이를 적용, 선박이 항상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는 수심을 알아내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우리측 조사선박 6척이 현장에 투입될 예정이며 남북 공동조사단 관련 인원들이 공동으로 승선해 현장조사를 수행하며 12월말까지 모든 현장조사를 마무리하기 위해 전체조사 해역을 A, B, C 3개 구역으로 나눠 실시할 예정이다.

한강하구는 정전협정에 따라 남북한 민간선박의 자유로운 항행을 허용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민감수역’으로 관리돼 민간선박의 자유항행 자체가 제한됨에 따라 수로측량 등 기초조사와 해도제작 등 항행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축할 수 없었다. 한강하구 공동이용수역에 대한 수로조사가 완료되면 민간선박의 자유로운 항행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항행정보(해도)가 제공될 예정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한강하구는 군사분계선이 존재하지 않아 우발적 충돌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이 조치를 통해 한강하구가 평화의 장소로 탈바꿈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