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호주 경제인들, 부산서 만났다

입력 2018-10-30 09: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과 호주 경제인 170여 명이 부산에 모였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호·한 경제협력위원회(AKBC)와 함께 30일(화) 부산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제39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 합동 회의를 개최했다.

양국 간 민간 경협위 설립 40주년을 앞두고 한국 개최 때마다 서울에서 추진해왔던 것에서 벗어나 양국의 협력이 앞으로 보다 미래지향적으로 도약하기 위해 한국의 지방 도시 소개에 적극 나선 것이다. 합동 회의가 부산에서 개최된 것은 1996년 이후 20년 만이다.

최정우 한국 측 위원장(포스코 회장)은 만찬사를 통해 “한·호 경협위가 양국 경제협력의 중요한 모멘텀마다 큰 역할을 해왔다”며 “민간차원의 국제교류를 약 40년간 꾸준히 해나간다는 것은 매우 큰 의미”라고 양국 간 민간 경협위의 의의를 강조했다.

특히 이번 부산회의에 대해 “한국의 수도권 집중 현상을 역으로 해석하면, 오히려 외국인 투자자 관점에서 한국의 다른 대도시에 아직 기회가 많다는 것”이라며 우리나라 지방 대도시에 호주 기업인들이 더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특히 부산은 우리나라 최대 국제항만 물류해양도시로, 우리나라 전체 컨테이너 처리량 중 75%를 차지할 정도로 큰 규모”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경제는 상당수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부산은 제2의 도시이고, 부산항이 국내 최대 무역항이라는 명성에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로 미미하다. 부산의 주력산업이던 신발, 섬유 등 노동집약산업이 쇠퇴하고, 지역경제를 견인할 신산업으로 대체되지 못하면서 약 30년 전 한국 경제에서 8%를 차지였던 부산의 지역총생산 비중이 점차 감소했다. 최근 1인당 지역총생산은 한국 16개 행정구역 중 13위 수준이다.

외국인 투자 면에서 부산의 실적은 더욱 부진하다. 지난 5년간 추이로 봤을 때 국내 유입되는 외국인 투자 중 부산으로의 유입은 단 2%를 차지한다. 부산 지역총생산이 전국의 5%를 차지하는 것을 감안했을 때 경제 규모 대비 외국인 투자유치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환경이슈가 세계적 아젠다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양국 간 미래 에너지에 대한 협력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로 전세계적 관심을 받고 있는 리튬 광산 개발에 대한 논의를 비롯해 작년에 이어 올해도 친환경 원료인 LNG 협력 방안 등을 다뤘다.

지난해 호주 정부의 LNG 수출 제한에 대한 한국 민간 경제계의 우려를 호주 측에 전달한 데에 이어, 올해는 보다 상호 이익의 관점에서 양국 모두의 관심사인 미래 에너지에 논의를 집중한 셈이다.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은 “올해 들어 전경련은 중요한 국제회의를 몇 차례 지방에서 개최하면서 지방경제 활성화와 지방 도시 홍보 등 민간외교관 역할을 해오고 있다”며 “이번 호주경협위이 역시 약 40년간 지속돼 온 양국 간 민간회의의 지평을 넓히는 계기를 새롭게 만들어 보고자 이곳 부산을 찾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 측은 최정우 포스코 회장, 정현민 부산행정부시장, 박기식 부산경제진흥원 원장, 이상기 GS건설 인프라 부문 대표 등이, 호주 측은 마크베일 위원장, 존워커 맥쿼리코리아 회장 등 양국에서 170여명이 참석했다.

한편 이날 이들은 부산의 제조업과 물류산업의 소개를 위해 르노삼성자동차 공장과 부산신항을 산업시찰로 방문했다. 합동 회의 하루 앞서 진행된 29일 환영 만찬은 부산의 명소인 ‘누리마루APEC하우스’에서 개최, 오거돈 부산시장이 참석해 사절단을 환영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