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시간 길수록 입사 합격 확률 높아져

입력 2018-10-01 07: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원자 한 명 당 평균 면접시간, 25.6분

면접시간이 길면 입사시험에 합격할 확률이 높아질까. 면접관 과반이 “확신을 갖고 싶은 지원자에게 질문을 많이 한다”는 설문 조사결과가 나왔다.

취업준비의 시작, 잡코리아가 직원 수 100명 이상 기업 304개사 면접관을 대상으로 ‘신입직 면접’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우선 이들 기업의 면접단계는 실무면접을 거쳐 임원면접까지 2단계로 진행하는 기업이 46.4% 가장 많았고, 1단계로 진행하는 기업도 37.2%로 다음으로 많았다.

신입사원 면접방식은(*복수응답) 일대일 개별면접이 응답률 55.9%, 다수의 면접관과 지원자 한 명이 참여하는 다대일 면접을 진행하는 기업도 43.1%로 많았다. 다음으로 면접관과 지원자 모두 다수가 참여하는 다대다 면접이 23.0%, 면접관 1명과 지원자 다수가 참여하는 일대다 면접 18.8% 순이었다.

이외에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블라인드 면접을 진행하고 있는 기업은 11.8%였으며, PT면접(11.5%), 이색면접(3.6%), 토론면접(2.3%) 등을 도입하고 있는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면접시간은 지원자 한 명 기준 평균 25.6분으로 집계됐다. 시간 별로는 약 30분(34.9%)에서 20분(23.0%) 정도 진행하는 기업이 과반수이상으로 많았다.

그렇다면 면접시간이 길면 합격할 확률이 높아질까.

이번 설문에 참여한 면접관 절반 이상은 지원자의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대중없다”(51.6%)고 답했다. 그러나 “면접시간이 짧은 지원자”(9.9%) 보다는 “면접시간이 긴 지원자”(38.5%)가 채용될 확률이 높다는 응답이 4배 정도나 더 많았다.

또 면접관들에게 “면접 중 어떤 지원자에게 질문을 더 많이 하는지”를 물은 결과 “채용할 만 하나 조금 더 확인하고 싶은 지원자”가 응답률 61.8%로 가장 많았다. 이외에 “자기소개서에 쓰인 내용과 면접장에서 말하는 내용이 다른 지원자(37.0%)”, “채용하면 좋겠다고 생각되는 지원자(36.6%)”, “왜 지원했는지 입사동기가 모호한 지원자(14.7%)”, “채용하고 싶지 않은 지원자(10.9%)” 순으로 조사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