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ㆍ원양업계, 5년간 매년 기금 조성해 남극해 자원보존 사업 지원

입력 2018-08-02 06:00수정 2018-08-02 08:0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와 원양업계가 앞으로 5년간 매년 남극해 조업선사의 자발적 민간기금을 조성해 남극해 자원보존 등의 사업에 지원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2일 서울에서 데이비드 애그뉴(David Agnew)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CCAMLR, 이하 위원회) 신임 사무국장과 국내 남극해 조업 선사, 비정부기구 간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제수산기구와 국내 원양업계 및 비정부기구가 한자리에 모여 소통한 것은 처음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동원산업, 선우실업, 인성실업, 홍진실업 등 조업 선사 4개사와 그린피스, 시민환경연구소, 환경정의재단, 세계야생생물기금(World Wildlife Fund) 코리아 4곳이 참여했다.

간담회에서는 올해 4월부터 임기를 시작한 신임 사무국장에게 한국 정부의 불법ㆍ비보고ㆍ비규제(IUU) 어업 근절 정책현황과 우수한 조업감시 역량을 소개했다.

또 국내 원양업계가 남극해 자원보존 등을 위해 자발적으로 조성할 계획인 민간기금에 대해 함께 논의하고 비정부기구의 남극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 등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정부와 원양업계는 앞으로 5년간 매년 남극해 조업선사의 자발적 민간기금을 조성해 과학역량 지원 사업에 기여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남극해 자원보존을 강화하고 남극해에서 조업하는 국내 선사의 안정적인 입어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비정부기구는 데이비드 애그뉴 사무국장에게 올해 연례회의에서 동남극해와 웨델해(Weddell Sea)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새롭게 채택해 줄 것을 제안하고, 남극의 해양생태계 보호를 위해 모든 회원국들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이어나갈 것을 촉구했다.

위원회가 관리하는 남극해는 우리나라가 이빨고기와 크릴을 어획하는 수역이다. 지난해 이 수역에서 이빨고기 1242톤, 크릴 3만377톤을 어획했다.

과거에는 이 수역에서 일부 우리나라 어선의 IUU 어업 문제로 2013년에 미국이 우리나라를 IUU 가담국으로 지정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정부와 원양업계의 강도 높은 IUU 어업 근절 노력으로 2015년에 IUU 가담국 지정이 해제됐다.

데이비드 애그뉴 사무국장은 이번 간담회에서 앞으로 4년간 이끌어갈 위원회의 비전과 전략에 대해 소개했고 남극해에서의 조업 활동은 물론, 남극해 수역의 과학 조사 분야에서도 국제적인 논의를 선도하고 있는 한국 정부의 변함없는 협조와 노력에 감사를 표했다.

앞서 데이비드 애그뉴 사무국장은 1일에는 인천 송도에 위치한 극지연구소에 방문해 우리나라의 남극 관련 정책과 과학 역량 사업 등을 살펴보는 시간도 가졌다.

양동엽 해수부 국제원양정책관은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들을 바탕으로 앞으로 남극해 자원 보존 논의에도 적극 참여함으로써 남극해에서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을 공고히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