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인도시장 '유망'…장기적 투자 필요"

입력 2018-07-08 17: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문재인 대통령의 순방과 신남방정책의 핵심국가로 주목받고 있는 인도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복잡한 사회·문화 시스템을 고려해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8일 인도 시장 공략을 위한 키워드로 'I.N.D.I.A'를 제시하면서 "많은 인구와 경제 성장세를 바탕으로 향후 발전 가능성이 크나 시장을 철저히 조사한 뒤 장기적으로 보고 진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경련이 제시한 키워드 'I.N.D.I.A'는 △Improving economic indicators(경제지표 개선) △Numerous people(13억 인구 대국) △Deregulation(과감한 규제개혁) △Infrastructure(유망한 인프라 시장) △Aim long-term(장기적인 투자)의 약자다.

전경련에 따르면 세계 경제의 저 성장세 속에서도 인도의 각종 경제지표는 매우 좋은 편이다.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은 7.7%이며, 민간소비와 투자 확대를 바탕으로 향후 7%대로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물가상승률이 안정되고 재정적자 역시 축소되면서 약 13년 만에 신용등급도 개선(Baa3→Baa2)됐다.

또한 인구 기준 세계 2위인 인도는 인구의 44%가 24세 이하인 '젊은 나라'다.

공용어로 영어를 사용하고 정보기술(IT) 전문 인력이 많아 양질의 노동력이 풍부해 노동시장 관점에서도 매력적인 나라로 꼽힌다.

올해 약 3억명인 중산층이 2025년 5억5000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내수시장 역시 유망하다.

무엇보다 모디 정부의 강력한 규제개혁에 힘입어 인도가 기업을 경영하기 좋은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전경련은 강조했다.

대표적인 규제개혁 사례로는 기존에 주(州)별로 다르게 징수하던 상품과 서비스의 간접세 세율을 통일한 것과 외국인 투자를 최대 49%로 제한했던 단일브랜드 소매유통업의 지분투자제한을 철폐한 일을 꼽았다.

이런 변화로 인도는 세계은행 기업환경평가에서 지난해 기준 100위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30계단이나 상승했다.

인도는 특히 정부가 강력하게 개발을 추진 중인 인프라 시장이 유망할 것으로 분석됐다. 인도 중앙정부의 2018∼2019년 예산안 중 인프라 투자 예산은 전체의 4분의 1(6조 루피)을 차지한다.

현지 인프라 시장 규모는 2015년부터 10년간 연평균 6% 성장해 2025년에는 162억달러를 기록할 전망이다.

전경련은 "인도의 철도, 도로, 공항, 항만 등 인프라 프로젝트는 대부분 100% 외국인 직접투자를 허용하기에 우리 기업이 진출할 여지가 많다"고 말했다.

다만 복잡한 사회 시스템과 문화적 특성상 단기간 내 이익을 노리기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 인도는 사회 전반적으로 정착된 민주주의 시스템으로 인해 다양한 주체들과의 논의 절차가 필요해 의사결정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유명하다.

일본무역진흥회(JETRO)가 일본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아세안 국가 진출 시 흑자 전환까지 3-5년이 걸리는 반면 인도는 5-10년이 소요된다고 답했다. 아세안에 비해 2배가량 더 걸린 셈이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 "인도는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신남방정책의 핵심국가로 많은 인구와 경제성장세를 바탕으로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시장에 대한 철저한 조사 후 장기적인 관점을 갖고 진출해야한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