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사들, 車·조선 부진에 가격 인상 딜레마

입력 2017-04-17 10: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철강사들이 가격 인상 딜레마에 빠졌다. 자동차·조선 등 후방산업 부진과 달리 철강사들 ‘곳간’은 지난해 구조조정 등을 통해 넉넉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원자잿값 상승에도 불구하고 가격을 올려야 할 명분이 사라지고 있다는 얘기다.

17일 관련 업계 및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현대제철의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3.2% 증가한 3316억 원으로 추정된다. 같은 기간 매출액과 순이익 역시 각각 17.9%, 37.3% 늘어난 4조4134억 원, 2178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포스코도 1분기 영업이익이 1조20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2% 급증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 역시 14조6000억 원으로 17% 불어났다. 지난해 제품 고급화 전략 및 구조조정 효과가 본격화되고, 연초 열연ㆍ냉연강판, 후판 등 주요제품 가격 인상을 통해 원자잿값 상승분을 일부 상쇄한 덕이다.

문제는 이같은 우호적 환경이 계속 될지 여부다. 지난해부터 누적된 원료비용 부담을 덜어내려면 제품 가격을 올려야 하지만,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조선·자동차 등 고객사들은 되레 가격을 내려달라고 압박한다. 최근 철광석 가격이 2월 고점 대비 20% 넘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지난 2월부터 현대기아자동차와 자동차 강판가(價) 협상을 벌이고 있는 현대제철도 인상 폭을 두고 두달째 '맏형'과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 악화되고 있는 영업환경을 감안해 포스코 역시 4월 열연 판매가격을 동결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해 폭등한 철광석 가격 인상분을 반영하려면 2분기까지 가격 인상이 계속돼야 한다”며 “그런데 후방산업 부진이 갈수록 더 악화되고 있어 우리도 난감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