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車 리콜사태] 초기 대응 ‘골든 타임’ 놓쳐...결국 품질문제로

입력 2017-04-12 11:01수정 2017-04-12 14: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토부 추가 3건 리콜 검토 예정…아반떼·i30 전동식 조향장치 결함 등

“현대·기아자동차가 안전 관련 제작결함을 확인하고도 리콜을 진행하지 않고, 32건의 품질문제를 은폐하거나 축소·신고하고 있습니다.”

25년간 현대차그룹에 몸담은 김모 부장의 말이다. 지난해 자동차 업계를 발칵 뒤집어 놓은 이 말은 최근 현대·기아차의 대규모 리콜 사태의 발단이 됐다. 당시 회사 측은 그가 제기한 의혹들을 전면 부인하며, 법원에 비밀정보 공개 금지 가처분 신청까지 냈지만, 결국 김 부장이 쏘아올린 작은 공은 1년여 만에 진실이 돼 돌아왔다.

내부 고발자가 해임까지 당하면서 제기한 품질 문제 의혹은 총 32건이다. 조향·동력전달 장치 문제가 10건으로 가장 많고 △엔진 9건 △주행장치(타이어) 5건 △에어백 4건 △제동·배기 4건 순이다.

고객 문의가 빗발쳤지만, 현대차가 내놓은 답변은 한결같았다. 사실무근. 미국 리콜 결정은 현지 공장의 생산공정 청정도 관리 문제에서 비롯됐기 때문에 국내 차량과는 무관하다는 해명이다.

하지만 논란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았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전문가와 소비자단체 등으로 구성된 제작결함심사평가위원회를 열고 이 가운데 11건을 심의한 뒤 리콜 4건·무상수리 7건을 결정했다. 이번 17만3000여 대 리콜이 여기에 해당한다.

국토부 제작결함심사평가위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오는 20일 회의를 열고 추가 3건에 대한 리콜 필요성도 검토할 예정이다. 해당 안건은 △5만여 대의 아반떼·i30·쏘나타의 전동식 조향 장치(MDPS) 결함 △LF 쏘나타 주차 브레이크 경고등 결함 등이다.

MDPS는 모터 등의 힘으로 자동차 핸들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이 장치 관련 결함으로 핸들이 무거워져 잘 돌아가지 않는다는 불만이 거듭해서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LF 쏘나타는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지 않고 출발할 때 경고등이 들어오지 않는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며 “해당 결함 의심을 비롯해 제작결함심사평가위에 상정되지 않은 15건에 대해서도 장기적으로 결함 여부를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현대차 입장은 여전하다. 미국과 한국에서 결과적으로 같은 문제가 발생했지만, 공정상 문제 사유가 다르기 때문에 한국서 결함을 숨겼다는 식의 내수 차별은 오해라는 것이다.

결함 발견 시점에 대해서도 할 말이 많다. 미국 리콜 이후 내수용 엔진 결함을 발견했다는 설명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미국에서 리콜이 실시된 이후 해당 엔진과 관련한 국내 소비자 민원이 쏟아져 자체 조사를 벌였다”며 “2013년 8월 이전 생산한 세타 2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에 오일 공급 홀(구멍)을 만드는 과정에서 기계 불량으로 결함이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엔진 구조의 문제는 아니고 가공 공정상 문제”라면서 “고객들에게 이른 시일 안에 자세한 내용을 안내하고 리콜 조치를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