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 ‘BYO 유산균’, 출시 3년 만에 누적 매출 1000억 원 돌파

입력 2017-01-10 09:5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CJ제일제당의 김치유산균 전문 브랜드 ‘BYO 유산균’이 누적 매출 1000억 원을 돌파했다. 피부 가려움 개선 효능으로 국내 최초 식약처 인증을 받은 ‘BYO 피부유산균 CJLP133’이 첫선을 보인 지 만 3년 만이다.

CJ제일제당은 BYO 유산균 브랜드가 출시 첫해 매출 150억 원에서 2015년에는 300억 원, 지난해에는 약 550억 원을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BYO 유산균은 CJ제일제당이 7년 연구개발 끝에 수백 개 김치에서 분리한 3500개 유산균 분석을 통해 차별화된 기능성을 입증해 2013년 12월 처음 제품화한 유산균 전문 브랜드이다. 성장의 배경은 BYO 유산균 시리즈 3종이 장 건강에 집중돼 있던 기존 유산균 시장을 기능성 중심으로 유산균 시장의 패러다임을 전환했기 때문으로 회사는 분석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올해 김치유산균의 다양한 기능성을 앞세워 TPO(시간·장소·상황)에 맞는 제품 체험 샘플링 등 고객 접점 마케팅을 더욱 강화해 매출 700억 원 이상 달성할 계획이다. 김치유산균을 넣은 초콜릿, 빵, 과자 등 제품들이 속속 출시되는 최근 트렌드를 주도하고자 B2B(기업 간 거래)도 적극적으로 확대한다.

R&D 측면에서는 신규 기능성이 기대되는 김치 유래 후보 균주에 대한 연구개발에 집중해 또 다른 기능성이 있는 신제품 출시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또 현재 판매 중인 BYO 유산균 제품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장내 생존율을 높여줄 신규 코팅 기술을 추가로 적용해 올해 한 차원 더 업그레이드 할 계획이다.

글로벌 사업 확대에도 더욱 박차를 가한다. 올 상반기에는 중국에 BYO 유산균 브랜드를 론칭하고 뷰티&헬스 전문숍인 중국 내 왓슨스 매장에서 판매를 시작한다. 특히 피부, 장, 다이어트 등에 민감한 성인 여성을 타깃으로 마케팅에 집중할 방침이다.

글로벌 B2B 시장 진출도 더욱 가속화한다. BYO 피부유산균 CJLP133이 일본, 중국, 유럽 등 7개국에 특허 등록을 마쳤고 미국 FDA 신규 식품원료로도 등재된 만큼 분유, 음료, 선식, 분말 스무디 등 원료 사업 확대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