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LG유플러스, ‘NB-IoT’ 연합전선 구축… SKT ‘로라’제압

입력 2016-11-03 10: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내년 1분기 상용화… 홈 IoT 넘어 산업 IoT 시장 선점

KT와 LG유플러스가 사물인터넷(IoT ) 시장 주도권을 쥐고자 ‘NB-IoT’ 공동 상용화를 위해 연합전선을 구축했다. SK텔레콤의 ‘로라’대신 국제 IoT 기술 표준으로 선정, 기존 홈 IoT 시장을 넘어 산업 IoT 시장을 선점하겠단 구상이다.

KT와 LGD유플러스는 3일 오전 광화문 KT 사옥에서 내년 1분기에 NB-IoT 상용화를 공동 추진하고 사물 인터넷 시장을 NB-IoT 기술 중심으로 이끌어 가겠다고 밝혔다.

NB-IoT는 LTE에서 서비스되는 IoT 기술이다. 지난 6월, 표준화를 완료한 상태도 상용화를 앞두고 시범 사업을 진행해 왔다. 양사는 NB-IoT 조기 전국망 구축을 통해 SK텔레콤이 이미 상용화 한 IoT 기술 로라를 압도할 방침이다.

KT 관계자는 “비면허 주파수를 사용하는 로라 대비 NB-IoT는 LTE 전국망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촘촘한 커버리지와 안정적인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어 훨씬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KT와 LG유플러스는 상용화가 완료되면 내년 중으로 전국망 구축을 완료할 방침이다.

또 국내외 주요 IoT 제조사들과 협력을 확대해 칩셋, 모듈, eSim, 단말기 등 IoT 핵심부품 공동소싱을 검토할 예정이다. 공동소싱을 통한 물량확보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이를 통해 스타트업 등 다양한 사업자들이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더불어 해외시장 선점을 위해 우리나라 중심의 글로벌 표준화, 기술 선도를 위해 핫라인을 구축 공동 대응에 나선다.

양사는 NB-IoT 망을 활용해 산업 IoT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가장 먼저 추진할 사업은 가스, 수도, 전기 같은 공익사업이다. 기존의 가스, 수도, 전기 계량기를 NB-IoT 기반 계량기로 교체해 원격검침 및 관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부가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기업전용 NB-IoT 망을 구축해 화물추적과 같은 물류관리, 유해가스 감시, 주요설비 모니터링 등을 지원한다.

스마트 시티 분야에서는 에너지, 환경, 교통 등 3대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사업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오염 및 자연 재해대응을 위한 실시간 감시체계와 스마트 신호등, 스마트 주차 등 지능형 교통관제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번 협력으로 일반 소비자들의 경우 해외여행 시 가방 위치추적 등 NB-IoT 로밍 기반 다양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김준근 KT GiGA IoT사업단장은 “KT는 LTE-M 세계최초 상용화 등 성장성이 높은 소물인터넷 사업에 집중해왔다”며 “무한한 성장이 예상되는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LG유플러스와 지속적으로 협력 범위를 넓힐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