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사원 채용 시 학력보다 자격”…대한상의 기업 채용관행 실태조사

입력 2016-08-24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A기업은 입사지원서에서 사진, 연령, 가족관계 등을 요구하지 않는다.”

“B기업은 인사팀이 아닌 실제 채용할 부서의 직무 전문가들이 채용과정에 참여, 지원자의 이름을 제외한 나머지 정보를 배제한 채 직접 자기소개서를 읽고 직무경험 중심으로 평가한다.”

기업이 신입사원을 채용할 때 직무 능력 중심의 채용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은 학력보다 자격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특히 중소기업일수록 직무에 적합한 자격에 대한 선호가 높았다.

24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내놓은 ‘기업 채용관행 실태’에 따르면 기업에서 신입사원을 채용할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 항목은 자격(54.9%), 학력(34.8%), 인턴경력(28.0%)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은 대한상의가 고용부와 함께 518개 기업 인사담당자 대상으로 실시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65.2%), 제조업(63.7%), 숙박‧음식업종(69.7%)에서 자격을 중요하게 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기업에서 자격이 더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다만, 1000인 이상 기업에서는 학력과 자격을 동등한 비율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사지원서에서 직무능력과 무관한 인적사항을 요구하는 기업은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특히, 키‧몸무게, 혈액형은 10%p 이상 큰 폭으로 감소했으며 그밖에 본적, 가족관계를 요구하는 기업도 줄었다.

▲자료 제공 = 대한상의

반면 직무관련성에 대한 기업의 선호도는 증가했다. 소위 ‘9대 스펙’ 중 성형수술을 제외한 8가지 항목에 대해 입사지원서에서 요구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직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 중심으로 기업의 요구가 증가했다. 특히, 인턴경력, 공모전은 10%p 이상 큰 폭으로 증가했다. 기업규모가 클수록 다양한 스펙에 대해 요구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한 인지도는 크게 증가했다. NCS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58.5%로 전년대비 22.2%p 증가했고, NCS를 활용하고 있거나 활용할 예정인 기업은 26%로 전년대비 21.4%p 늘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48%), 도소매-유통업(45%), 제조업(26%)에서 NCS를 활용할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 권기섭 직업능력정책국장은 “기업의 경쟁력 향상과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직무능력을 우선하여 인재를 선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능력중심 채용 실천선언’이 준수될 수 있도록 경제단체(대한상의, 경총)와 함께 대기업 등 인사담당자 대상 직무능력중심 채용을 위한 간담회·교육을 실시하여 공감대를 넓혀 나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