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초고령사회 진입하는 2026년 GDP, 2014년 대비 약 8% 감소 예상”

입력 2016-08-09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료제공=한국경제연구원)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2026년 국내총생산이 2014년보다 약 7.95% 하락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9일 ‘고령화 시대의 성장동력 제고를 위한 고용률 수준 추정’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의 보고서에 따르면 고령화율이 1% 포인트 높아지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약 0.9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율이란 65세 이상의 고령자 인구(노령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한경연은 고령화율이 2014년 12.68%에서 2026년 20.83%로 8.15% 포인트 상승함에 따라, 2026년에 국내총생산이 2014년 대비 7.95%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국제연합(UN)의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50년 고령화율은 35.15%에 달할 전망이다. 이에 우리나라 국내총생산은 2014년 대비 21.90%가 떨어질 것으로 추정됐다. 한경연은 GDP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용률 제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유진성 한경연 연구위원은 “고용률이 1% 포인트 상승하면 실질 GDP가 약 1.02%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2026년 고용률을 2014년(65.3%) 보다 최소 7.8% 포인트 높은 73.1%까지 끌어올려야 현재 수준의 GDP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파견법 개정, 일반해고·취업규칙 변경요건 완화 지침 정착, 대체근로 허용 등 적극적인 노동시장 개혁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또한 65세 이상 고령층의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취업구조를 단순노동중심에서 전문지식분야로 확대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