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 특사, 김승연·이재현·최재원·구본상?

입력 2016-07-12 10: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朴대통령 특별사면 방침에 후보기업인들 이목 집중

박근혜 대통령이 작년에 이어 올해도 8·15 광복절 특별사면을 하겠다고 밝히면서 특사 후보 기업인들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2일 재계에 따르면 박 대통령이 전날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광복 71주년을 맞이해서 국민의 역량을 모으고, 재기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사면을 실시하고자 한다”며 광복절 특사 입장을 공식 표명하자 총수 공백을 겪고 있는 기업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현재 광복절 특사 물망에 오른 기업인은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과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 구본상 전 LIG넥스원 부회장이다. 김 회장은 2014년 2월 집행유예로 풀려 난 후 작년 특별사면에 이름이 거론됐으나 막판에 명단에서 빠졌다. 또 오는 10월 말께 출소를 앞둔 최 수석부회장은 형기 대부분을 채워 사면에 유리할 것이란 평가다. 구 전 부회장도 4년 형기의 92%를 마쳤다.

여기에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재상고 포기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은 지난해 11월 파기환송심에서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과 함께 벌금 252억 원을 선고받고 대법원에 재상고했다. 이 회장은 재상고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이 나지 않아 형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그러나 재상고를 포기해 형이 확정되면 사면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밖에 이호진 태광그룹 회장, 장세주 동국제강 회장, 현재현 전 동양 회장, 강덕수 전 STX그룹 회장 등이 수감 중이다. 조석래 효성그룹 회장은 배임·횡령 등으로 불구속 기소된 상태로, 1심 재판에서 3년 실형을 선고받고 항고 중이다. 장세주 회장도 형이 확정되지 않았고, 이호진 회장은 형기 충족 요건을 채우지 못했다. 현재현 전 동양 회장은 죄질이 나빠서 사면에 이름을 올리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뇌물수수, 횡령 등의 혐의로 구속 수감돼 재판을 기다리는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도 특별사면과는 거리가 멀다.

사면에 대한 엄격한 원칙과 기준을 강조한 박 대통령은 2014년 1월 설 명절 특사에서 비리 정치인과 기업인을 완전히 배제했다. 또 작년 광복 70주년 특사에서는 주요 경제인 14명을 사면 대상에 포함했으나 재벌 총수는 최태원 SK 회장 1명이었다. 이에 따라 이번 사면에서도 사회지도층 인사와 경제인이 무더기로 포함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