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활성화대책] 프로구단 경기장 임대 최대 25년…스포츠산업 민간투자 확대

입력 2016-07-07 11:00수정 2016-07-07 14: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골프ㆍ양궁 등 글로벌 아카데미 운영

프로구단이 경기장을 최대 25년까지 장기임대해주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공공체육시설에도 민간투자를 확대한다.

정부는 7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10차 무역투자진흥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스포츠 산업 투자활성화 대책을 내놨다.

2008년 26조 원이었던 국내 스포츠산업 시장 규모는 2010년 34조 원, 2012년 38조 원으로 성장했고 2014년에는 41조 원 규모까지 커졌다.

그러나 스포츠 시설은 공공부문 중심으로 투자가 이뤄지고 시설 운영도 지방자치단체 주도여서 고객 서비스 제고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프로구단에 대한 경기장 장기 임대(5년→25년)를 유도해 자기 책임하에 고객 맞춤형 투자를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장기임대ㆍ수익사업 관련 법령 개정사항의 조례 반영을 추진하고 공유재산법상 사용료 규정 특례로 공공체육시설 사용 수익에 대한 연간사용료를 감면해줄 계획이다.

또 구단이 지방자치단체와 협상해 우선하여 ‘명칭 사용권’을 가질 근거 규정을 신설하고 제삼자와 명칭 사용권 거래도 가능하도록 규정한다.

또 정부는 스포츠 시설 운영에 민간의 경영 능력을 적극적으로 활용,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표준 조례안을 마련해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위탁 대상 확대, 위탁기간 장기화, 위탁자 평가 및 선정 시 경쟁입찰 원칙 도입 등을 규정하기로 했다.

아울러 K-스포츠 타운 조성을 추진해 스포츠 전문 마케팅 기업을 육성하고 글로벌 스포츠 유망주를 발굴, 체계적으로 육성 및 홍보를 할 수 있는 전문 육성 시스템을 만든다. K-스포츠 타운은 세계적인 수준의 스포츠 교육ㆍ체험 시설을 뜻한다.

현재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에서 한국의 골프와 야구 등을 교육받고자 하는 수요가 있으나 기반시설 부족 등으로 적극적인 대응이 미흡했다.

적정 부지 확보 및 민간 투자 유치를 통해 교육ㆍ체험ㆍ공연 기능이 복합된 K-스포츠 타운을 만들어 이들에 대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국내 저변도 확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골프ㆍ양궁 등 우리나라가 강점을 가진 분야의 글로벌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K-팝과 연계한 각종 스포츠 이벤트를 즐길 장소로 만들어 나간다는 것이다.

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 및 공공데이터 활용 등을 통해 유망 스포츠 스타트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