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포드·우버 등 자율주행차 로비단체 결성

입력 2016-04-27 10: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리프트·볼보도 참여…NHTSA, 7월 가이드라인 발표 예정 [IMG:CENTER:CMS:789160.jpg:SIZE500] 구글과 차량공유 앱업체 우버와 리프트, 포드와 볼보 등 자율주행자동차를 활발하게 개발하는 업체들이 로비단

체를 결성했다고 26일(현지시간) 미국 IT전문매체 더버지가 보도했다.

로비단체 명칭은 ‘더 안전한 거리를 위한 자율주행 연대(the Self-Driving Coalition for Safer Streets)’로 연방과 주 등 각급 의회의원, 규제당국 등과 협력해 자율주행차의 안전과 사회적 장점을 제고하고 그 이점을 전파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미국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 국장을 역임한 데이비드 스트릭랜드가 새 단체의 법률자문 겸 대변인 역할을 맡았다. 스트릭랜드는 이날 성명에서 “자율주행차는 미국 도로를 더 안전하게 만들고 교통정체를 덜어준다”면서 “새 혁신을 위한 가장 좋은 길은 미국 전역에서 통용되는 분명한 기준을 세우는 것이다. 우리는 정책입안자들과 협력해 자율주행차의 전개를 촉진할 옳은 솔루션을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새 단체가 설립된 시점이 중요하다고 더버지는 강조했다. NHTSA는 조만간 자율주행차에 대한 두 번째 공청회를 열어 의견을 수집하고 나서 관련 가이드라인을 오는 7월 발표할 예정이다. 첫 번째 공청회는 지난 8일 워싱턴의 미국 교통부 청사에서 열렸으며 당시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다. 두 번째 공청회는 실리콘밸리의 심장인 스탠퍼드대에서 27일 열린다고 더버지는 전했다.

NHTSA는 지난 2월 자율주행차를 모는 인공지능을 ‘운전자’로 간주할 수 있다는 법적 해석을 내놓았다. 반면 캘리포니아 주는 자율주행차 운전석에 항상 운전자가 탑승하고 운전대와 페달 설치를 의무화해 언제든지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규제 방안 초안을 제시한 상태다.

구글은 이미 미국 3개 도시에서 160만km가 넘는 시험 주행을 했을 정도로 자율주행차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포드도 미시간 주 본사에서 자사 자율주행차 기술을 시험하고 있으며 우버도 자체 연구·개발(R&D)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우버 경쟁사인 리프트는 최근 제너럴모터스(GM)와 협력 관계를 맺었다. 볼보는 이달 초 도로 주행 테스트를 위해 중국에 100대의 자율주행차를 보냈다고 밝혔다. 볼보는 중국 지리자동차의 자회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