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6/02/600/20160202091919_811111_640_473.jpg)
2일 각사 IR 자료에 따르면 KT는 지난해 2조8132억원의 마케팅 비용을 지출했다. 2014년 3조1528억원에 비해 10.8% 감소한 수치다. 전년보다 약 3400억원을 아낀 셈이다.
KT는 지난해 1분기 7082억원, 2분기 6742억원, 3분기 6895억원, 4분기 7413억원을 마케팅비로 썼다.
KT는 지난달 29일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 콜에서 “20% 요금할인 가입자 증가로 마케팅 비용이 줄었다”며 “중저가폰 활성화로 관련 비용이 더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새 브랜드 출시로 광고 선전비가 늘어난 LG유플러스도 전체 마케팅 비용은 오히려 줄었다. 이 회사의 마케팅비는 2014년 2조962억원에서 지난해 1조9987억원으로 4.7% 감소하며 1000억원 가까운 돈을 절약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1분기 5038억원, 2분기 4757억원, 3분기 4901억원, 4분기 5290억원을 마케팅에 지출했다.
2일 영업 실적을 공시하는 SK텔레콤은 지난해 마케팅 비용을 10%가량 축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4년 마케팅 비용이 3조5730억원 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3500여억원을 줄인 셈이다.
지난해 SK텔레콤은 1분기 8460억원, 2분기 7400억원, 3분기 7490억원의 마케팅 비용을 지출했다.
이통 3사의 마케팅비를 종합해 보면 지난해 무려 8000억원에 가까운 마케팅 비용을 절감했다. 이는 2014년 10월 초 단통법이 시행된 후 통신시장에서 무리한 가입자 유치전이 사라진 결과로 해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번호이동이 줄고 기기변경이 늘면서 이동통신 서비스 마케팅에 쓰는 비용이 눈에 띄게 축소됐다”며 “마케팅 비용 감소를 통해 영업이익 개선됐을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