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KT, 지난해 영업익 1조2929억 흑자 전환… 3년만에 1조 클럽 복귀

입력 2016-01-29 08: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KT가 지난해 3년 만에 연간 영업이익 1조 클럽에 복귀하면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무선사업의 질적 증가와 미디어ㆍ콘텐츠 사업이 순항하면서 실적 상승을 견인했다.

KT는 연결기준으로 지난해 22조2812억원의 매출과 1조2929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보다 0.1%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4066억원의 영업손실에서 흑자 전환했다. KT가 연간 영업이익 1조원을 달성한 것은 2012년 이후 3년 만이다.

전체 서비스 매출은 유선사업을 제외한 전 분야에서 호실적을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2.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주요 사업의 본원적 경쟁력 강화로 가입자와 매출이 성장하고, 구조적인 비용혁신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무선사업은 7조370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무선 서비스매출은 LTE 보급률 증가, 데이터 사용량 증가, ‘데이터충전’과 같은 데이터 부가상품 판매 활성화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3.4% 성장했다. 가입비 폐지, 상호접속료율 인화 등 기타 수익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체 무선매출은 전년 대비 0.7% 증가했다.

지난해 말 LTE 가입자는 전체 가입자의 71.1%인 1283만명을 기록했다. 4분기 1인당 평균 매출(ARPU)는 3만6491원으로, 전분기 대비 0.8% 성장했다.

유선사업은 유선전화 매출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 6.9% 감소한 5조158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다만, 기가 인터넷은 전국 상용화 1년3개월여 만에 110만 가입자를 달성하는 등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미디어ㆍ콘텐츠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10.2% 증가한 1조6623억원이었다. 특히 IPTV는 고객의 기호에 최적화된 콘텐츠와 선제적인 UHD 채널 확대 등에 힘입어 가입자 650만명을 돌파했다.

금융사업 매출은 카드 사용량 증대에 따른 BC카드 매출 호조로, 전년 대비 5.9% 증가한 3조4110억원을 기록했다. 기타 서비스매출은 글로벌 ICT 사업수주 성과로 ITㆍ솔루션 매출이 크게 늘면서 전년 대비 29.5% 증가한 1조9110억원을 기록했다.

KT는 올해 기가 인프라에 투자지출을 집중한다. 올해 안에 기가 커버리지를 전국 아파트 단위까지 100% 수준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기가 인터넷, 기가 와이파이, 기가 LTE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면서 KT의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고객인식을 개선하기로 했다.

미래 성장사업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성과를 가속화한다. 스마트에너지, 통합보안, 차세대미디어, 헬스케어, 지능형 교통관제 등 5대 미래융합 분야는 빠른 확산이 가능한 사업모델을 확보하고, 스마트팜 등 신규 모델을 지속 개발한다.

신광석 KT CFO 전무는 “올해는 KT만의 1등 기술과 서비스를 기반으로 통신사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더욱 강화하고, 미래성장 사업에서도 성과를 창출해 ‘글로벌 1등 KT’로 도약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T는 이날 공시를 통해 보통주 1주당 500원의 현금배당을 결산배당으로 지급하기로 했다. 배당금 총액은 1224억원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