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번호 공천] 새정치, ‘안심번호제’ 등 공천룰 타협안 ‘후폭풍’

입력 2015-09-30 17: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새정치민주연합 비주류 의원들이 여야 대표가 합의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등 공천룰을 놓고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내년 공천을 앞두고 당 지도부는 비례대표를 줄일 수 없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지만, 당내 농어촌의원들은 비례대표 수를 줄이고 지역구 수를 늘리라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또 선출직 평가위 인선, 탈당자 복당 불허 등 혁신안 후속조치를 두고도 의견이 갈리고 있다.

지난 28일 여야 대표가 회동을 통해 마련한 협상안을 놓고 지도부는 기술적인 문제이며 혁신안에 포함된 내용이라고 일축했다. 하지만 비주류 진영에서는 끊임없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이날 트위터에서 “잘못이 있을 때 설명(지적)을 하면 ‘안심하세요’라는 답변이 돌아온다”면서 “(그러나) 안심번호는 안심을 못하는 ‘불안심번호’라며 국민공천제는 찬성하지만 안심번호제에는 반대한다”고 밝혔다.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안심할 수 있나"라는 말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친노(친노무현)계 등 주류에 유리한 제도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안심번호제도 일종의 모바일 투표 아닌가”라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일부에서 투표 결과를 두고) 오류를 주장했을 때, 확인할 수 있는 제도가 없으면 의심을 계속하게 된다. 지난 모바일 투표 때 이런 일이 있었다”며 “확실한 복기(검증) 방법이 없으면 제도로 도입돼선 안 된다”고 했다.

비주류인 송호창 의원도 TBS라디오에서 “안심번호제는 여론조사로 후보를 결정한다는 것인데, 민주주의 기본 원리에 반대된다”고 했다.

하지만 주류인 최재성 총무본부장은 YTN라디오에서 “일부 의원들의 비판은 안심번호제에 대한 기본적 인식이 뒷받침되지 않은 발언”이라고 반박했다.

최 본부장은 “안심번호제는 오픈프라이머리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다. 그런데도 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하시던 분들이 오히려 반대하는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다”며 “이번 합의는 문 대표가 대승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수용한 형국"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