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그룹 관료출신 사외이사 39%…포천 100대기업은 9.9%

입력 2015-08-26 07: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30대 그룹의 사외이사는 관료 출신이 40%에 육박한 반면 미국 경제전문지 '포천'(FORTUNE)이 선정한 상위 100대 기업의 사외이사는 74%가 재계 출신인 것으로 조사돼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한국 대기업의 사외이사가 다분히 정·관계를 의식한 '바람막이용' 인사들로 채워진 데 비해 사외이사 제도의 원조 격인 미국의 대기업들은 철저하게 해당업계 전문가들을 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30대 그룹 중 영풍, 두산, CJ, OCI, 동국제강, 신세계, 롯데, 효성 등 8개그룹은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50%를 넘었다. 반면 미래에셋은 관료 출신 사외이사가 단 한 명도 없었고 포스코, LG, KT도 10%대에 불과했다.

26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국내 30대 그룹 187개 상장사의 사외이사 609명과 미국 포천지가 선정한 상위 100대 기업 사외이사 815명의 출신 이력을 전수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한국은 '관료', 미국은 '재계'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미국 포천 100대 기업의 사외이사 경력을 전수 조사한 것은 CEO스코어가 국내 최초다.

국내 30대 그룹 사외이사 중 관료 출신은 235명으로 38.6%에 달했다. 다음은 186명을 배출한 학계로 30.5%를 차지했다.

재계 인사는 97명으로 15.9%에 불과했다. 그밖에 언론(25명, 4.1%), 공공기관(24명, 3.9%), 법조(17명, 2.8%), 세무회계(14명, 2.3%), 정계(4명, 0.7%) 출신 순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