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제조업 체감경기 6년3개월來 최저…메르스 타격

입력 2015-06-30 06:00수정 2015-06-30 09: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수출부진·계절요인도 악영향…비제조업 11P↓

제조업 체감경기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타격으로 6년 3개월내 최저치로 급락했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6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자료에 따르면 이달 업황 BSI는 66으로 전월에 비해 7포인트 하락했다. BSI는 기업이 느끼는 경기 상황을 지수화한 것으로, 기준치인 100 이상이면 경기를 좋게 보는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고, 미만이면 그 반대라는 뜻이다.

▲출처: 한국은행

제조업 업황 BSI는 지난 2월(74)부터 석달째 오름세를 띠다가 5, 6월에는 두달 연속 미끄러졌다. 이에 따라 이달에는 금융위기 때인 2009년 3월(56) 이후로 6년 3개월내 가장 낮은 수준으로 추락했다. 또 세월호 참사로 지난해 5월(79) 3포인트 떨어진 것보다 더 큰폭으로 하락했다.

이는 메르스 사태가 요인으로 분석됐다. 박동화 한은 기업통계팀 차장은 “음식료품, 의복, 의약품, 모피 등 소비재 제조업종을 중심으로 메르스 영향이 나타났다”며 “BSI 조사가 지난 16~23일에 이뤄졌는데 메르스 사태가 정점으로 고조된 16일에 이미 설문이 반 넘게 진행돼 제조업 체감경기에 미치는 타격이 더 크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더불어 올해 들어 심화하고 있는 수출 부진도 제조업 체감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제조업 체감경기를 부문별로 보면 대기업(73)과 중소기업(57)이 각각 5포인트, 8포인트 떨어졌다. 수출기업(67)과 내수기업(66)도 각각 7포인트, 6포인트 내렸다.

비제조업의 업황 BSI는 65로 전월비 11포인트나 급락했다. 제조업 부문보다 메르스 여파를 더 크게 받았다. 제조업과 마찬가지로 2009년 3월(60) 이후 최저치다. 박 차장은 “비제조업은 건설업을 제외하고 숙박, 여가서비스, 운수, 도소매 등 서비스 업종이 주로 메르스 악영향에 노출됐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부가 조사를 통해 올해 제조업 업황 전망 BSI가 74로 올 상반기 실적치(71)보다 3포인트 높다고 발표했다. 같은 기간 비제조업은 76으로 올 상반기 실적(75)과 비교해 1포인트 상승했다. 박 차장은 “통상 연간 전망 BSI는 상반기 실적보다 훨씬 높게 집계되는데 올해는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다”고 전했다.

소비자심리지수(CCSI)까지 포괄해 민간의 체감경기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경제심리지수(ESI)는 이달 88로 집계, 한달 전에 비해 10포인트 떨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