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행보’ 황교안, 국회와 소통 불안… ‘경제 살리기’ 우려

입력 2015-06-18 17:51수정 2015-06-19 18: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노진환 기자 myfixer@)
황교안 국무총리가 18일 국회 본회의 임명동의안 통과 이후 박근혜 대통령으로부터 임명장을 받고 대한민국 제44대 총리로 취임했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산 문제를 비롯해 경제 살리기 등 산적한 현안을 두고 국회에서는 불통에 대한 우려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황 총리는 취임과 함께 곧바로 메르스 대응 행보에 나섰다. 그는 임명장을 받은 뒤 국립중앙의료원을 방문한 가운데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 내가 컨트롤타워가 돼서 메르스 종식의 선봉에 서겠다”고 말했다. 이어 메르스 범정부대책회의를 주재하며 “오늘부터 메르스가 종식될 때까지 비상근무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야권에서 이런 황 총리를 바라보는 시각에는 기대보다 우려가 크다.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는 국회 본회의 표결 이후 “불소통, 소통하지 않는 정권의 상징처럼 보이는 후보자가 총리가 됐다”며 “국정에 얼마나 큰 방해가 될지, 얼마나 큰 재앙이 될지 두고 보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표도 “저희로선 굉장히 아쉬운 결과”라고 평가했다.

여당도 ‘경제활성화법’ 처리를 위해 야당의 협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임명을 강행한 것이 불안감으로 남아있다. 여기에 ‘국회법 개정안’마저 박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6월 임시국회는 물론 그 이후에도 당에서 내세운 민생법안의 통과는 요원하기 때문이다.

황 총리는 법무부 장관 시절부터 원칙을 중시한 스타일로 알려졌다. 때문에 박 대통령과 호흡을 맞춰 정국을 이끌어가는 일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런 황 총리의 방식에 대해서는 여권에서도 ‘융통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앞으로 총리로서 국회를 상대하기 위해서는 장관직을 수행하던 기존의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무감각을 키울 필요가 있다는 충고가 나오고 있다.

또 메르스 확산으로 위축된 소비심리를 살리고 경기를 회복시키는 일에도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평생 법조인으로서 활약해온 만큼, 얼마나 빠른 시간 내에 경제부문에 현안을 체득할 것인가가 관건이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법조인 출신인 새누리당 박민식 의원도 지난달 26일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경제살리기가 제일 큰 과제인데 그런 부분에서 경력을 보더라도 좀 취약하지 않을까 이런 걱정이 있는 것”이라며 “국무총리가 각부를 통할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전문성은 떨어진다 하더라도 조율능력, 통할능력 등 이런 것으로 충분히 커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