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가격 상승에 세수 늘어나지만 경제활동은 위축…홍콩 번영 이끌던 요인들 퇴색하고 있어
홍콩 정부가 막대한 재정수지 흑자에도 경제가 몰락할 위기에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1일(현지시간) 미국 금융전문매체 마켓워치가 보도했다.
홍콩 정부가 지난주 공개한 예산안에 따르면 올해 정부 재정흑자는 640억 홍콩달러(약 9조873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그러나 홍콩의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은 0.4%에 그쳤다.
마켓워치는 정부가 풍족한데 성장률은 바닥을 기는 현상의 이면에 부동산시장이 있다고 분석했다. 올해도 부동산가격이 두자릿수의 상승세를 보일 전망이어서 세수가 풍족하지만 경제활동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홍콩 정부는 부동산버블 억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당장 정책이 바뀔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부가 새 성장동력을 찾지 못하면 경제가 침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UBS는 부동산 문제 이외 근본적인 다른 이유가 있다고 분석했다. 은행은 최근 보고서에서 “글로벌 통화완화 정책과 중국 본토 여행객의 유입, 중국 수출허브로의 역할 등 3가지 외부 요인이 홍콩의 오랜 성장세를 이끌었다”며 “그러나 올해 이런 요소들이 부정적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홍콩은 달러페그제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기준금리 인상 충격에 약하다고 마켓워치는 지적했다. 6년간 지속됐던 풍부한 유동성이 끝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홍콩의 10년 부동산 강세장을 끝낼 수 있다.
중국 본토 관광객 유입도 둔화할 수 있다. 홍콩 정부는 중국 관광객 수가 조만간 1억명으로 지금의 두 배 수준을 기록할 것이라고 낙관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 대만 등이 비자간소화 정책을 펼치는 등 많은 국가가 중국 관광객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다. 이에 홍콩 관광 열기가 식을 수 있다는 조짐도 나오고 있다. 올해 춘제(설날) 기간 홍콩을 방문한 본토 관광객 수가 20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고 UBS는 덧붙였다.
많은 관광객을 끌어온 홍콩 디즈니랜드 이점도 사라질 전망이다. 내년에 상하이에서 개장하는 디즈니랜드는 홍콩의 세 배 규모다.
수출허브 역할도 갈수록 약해지고 있다고 UBS는 꼬집었다. 호주와 한국이 최근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것처럼 중국이 수출을 위해 굳이 홍콩을 경유할 필요가 약해지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무엇보다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는 홍콩 정부의 무능함이 문제의 근원이라고 지적했다. 양극화 심화에 시위와 분쟁이 더 빈번해지면서 투자자들로부터 신뢰를 잃을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홍콩이 직면한 문제의 해법은 정치개혁을 통해 더 나은 정부를 고를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마켓워치는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