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 지배구조개선안 확정…현 회장 연임 우선권 제외

입력 2015-02-27 15: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영관리ㆍ지배구조위원회 설치…완전자회사 이사회 지주로 이관

KB금융이 '제2의 내분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그룹 의사결정을 총괄하는 '경영관리위원회'를 설치한다. 또 유명무실의 '이사회운영위원회'와 '경영전략위원회'는 폐지하고 대신 '지배구조위원회'를 신설키로 했다.

다만 경영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되던 현 회장의 최고경영자(CEO) 연임 우선권은 내부권력화 우려로 인해 재논의 하기로 했다.

KB금융 이사회는 27일 오전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지배구조개선안을 확정했다.

KB금융은 내부통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우해 지난해 12월부터 3개월간 '지배구조 개선 태스크포스팀(TFT)을 가동했다.

TFT는 △지주회사 이사회의 역할 재정립 △사외이사 제도 운영 체계 개선 △계열사 경영관리 체계 정비를 주요 골자로 하는 개선 방안을 도출했다.

우선 KB금융은 이사회의 효과적인 감독역할 수행을 위해 '경영관리위원회'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계열사 총괄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일관성 있는 계열사 감독체계를 강화를 위해 완전 자회사의 이사회 내 위원회 기능을 지주회사로 점진적 이관하기로 했다.

효율적인 이사회 운영을 위해 기존 '이사회운영위원회'와 '경영전략위원회'는 폐지하고 '지배구조위원회’를 신설하게 된다.

TFT는 사외이사들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후보들의 전문 분야를 금융업, 회계, 재무, 법률ㆍ규제, 리스크관리, HRㆍIT로 세분화 했다. 특히 업계 최초로 모든 주주에게 사외이사후보를 제안할 수 있는 기회도 부여했다.

이 밖에 회장 1인뿐이었던 사내이사는 조직 안정을 꾀하기 위해 2명으로 확대하고 최고경영자 후보 육성 및 승계 절차 마련은 이사회내 상시기구인 '지배구조위원회'로 통합됐다.

KB금융 관계자는 "그동안 불안정했던 KB금융의 지배구조가 안정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중장기적으로 내실경영의 토대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CEO 경영승계 계획은 다음 이사회로 미뤄졌다. 당초 KB금융은 현직 회장의 임기 만료 수개월 전에 현직 CEO의 연임의사를 묻겠다는 내용의 개선안을 마련했다.

만약 현직 회장이 연임 의사를 밝히면 회장 재직 시절 그룹의 경영 실적과 내부 평가 등을 총체적으로 검토해 연임이 가능할 지 여부를 검토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일부 이사진들이 이사진들은 이사회와 회장의 결탁으로 우수한 CEO 후보의 영입을 차단할 수도 있다는 우려를 제기해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KB금융 관계자는 "그동안 논의된 방안들이 좀 더 폭 넓고 심도있게 검토돼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결의를 보류했다"며 "가장 바람직한 대안을 마련, 빠른 시일내에 이사회에서 재논의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