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강퉁 연기 확정…홍콩증권거래소 “시행일자 미확정”

입력 2014-10-27 08: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홍콩 민주화 시위, 세제 문제 등 직간접적 영향 관측

당초 27일 시행 될 것으로 알려진 후강퉁(중국 상하이ㆍ홍콩 증시 간 교차매매)의 서비스 시행 일자가 연기됐다.

홍콩증권거래소는 26일(현지시간) 성명에서 “중국 상하이와 홍콩증시 교차거래를 허용하는 ‘후강퉁’ 시행이 연기됐으며 언제 시행될 지 일자도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시장은 당초 이달 말 후강퉁이 시행될 것으로 예상했다. 새 플랫폼은 국제 투자자들에게 중국증시에 접근하는 길을 확대하고 본토 투자자들도 홍콩증시 상장 종목을 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홍콩증권거래소의 찰스 리 최고경영자(CEO)는 “현재 우리는 후강퉁 승인을 받지 못했다”며 “후강퉁 시행을 위한 기술과 인프라는 이미 준비 된 상태지만 언제 승인을 받을 지도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후강퉁 시행 연기와 관련 시장에서는 외국인의 중국 증시 투자한도와 세제 문제 등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고, 지난달 말 시작된 홍콩 민주화 시위도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국내 대형 증권사 해외주식 담당 임원은 “중국은 현재 외국인 주식거래 차익의 22%를 주민세를 포함한 양도소득세로 매기고 있는데,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배당소득세 등 세칙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며 “구체적인 거래 규정 등이 확정 되지 않은데다, 투자자들 입장에서 가장 큰 이슈인 세제 문제가 이번 후강퉁 연기에 발목을 잡았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여기에 최근 불거진 홍콩 민주화 시민 혁명도 이번 연기와 직접적 연관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 홍콩거래소도 성명을 통해 홍콩에서 벌어지는 민주선거 요구 시위가 연기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했다.

리 CEO는 “홍콩 시민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주장할 권리가 있지만 시위 장기화가 후강퉁 제도 시행을 늦추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 것 같다”면서 “시위 사태는 홍콩의 명성과 법치주의 등의 이미지를 훼손할 가능성이 있으며 금융 부문 및 시장기능에 대한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후강퉁 시행이 늦춰지면서 신수익 차원에서 준비에 만전을 기했던 증권사들도 허탈한 표정이다. 현재 한국투자, 하나대투, 대신, 유안타증권, 삼성증권 등 대형사 위주로 후강퉁 준비에 박차를 가했지만, 중국 측의 공식 발표가 늦어지면서 만반의 준비를 해 온 증권사 실무자들도 냉가슴을 앓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