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적조 피해와 양식산업

입력 2014-09-05 08: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영훈 국립수산과학원장

1995년 이후 매년 여름철 양식어가에 큰 피해를 가져왔던 적조(赤潮)가 2003년을 정점으로 소강 국면에 들어 2007년 이후 발생빈도와 피해도 미미했다. 그런데 지난해 예년보다 한 달 이상 이른 7월 17일 남해안 전역에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 적조특보가 해제(9월5일)될 때까지 경북 등 동해안까지 급속도로 확산돼 민·관·군의 총력 방제에도 불구하고 247억원이라는 역대 두 번째로 큰 수산 피해(1995년 764억원)를 일으켰다. 그 결과 많은 어업인들이 실의에 빠졌다.

우리나라 남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으로 한류와 난류가 교차해 수산업의 보고요, 양식산업의 메카로 자리매김했지만, 적조가 휩쓸고 간 뒤에는 텅 빈 가두리와 망연자실한 어업인의 한숨소리, 그리고 폐사된 물고기의 악취로 절망의 바다 그 자체였다.

이런 상황에 희망을 다시 피우기 위해 대통령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어업인들을 위로하고, 관계자들을 독려했다.

적조 피해의 아픈 경험을 토대로 해양수산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지난해 12월 ‘적조대응 중장기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적조 피해 최소화를 위한 연구와 정기예찰·예보 및 해양환경 관리 기능 강화, 양식장 구조개편 등을 포함한 실질적 개선 대책을 마련했다.

또한, 올해 초에는 적조에 대비한 위기대응 표준 매뉴얼을 제정, 적조 발생 시 신속한 대처와 효율적 적조 방제, 어업인들의 양식장 재해보험 가입의 대폭 확대, 적조 발생 전 양식어류 방류에 따른 보상금 현실화를 꾀했다. 아울러 이동식 가두리 시설 보급으로 적조 발생 시 안전한 해역으로 대피토록 하는 한편, 적조에 강한 양식품종 전환 시 사업비를 지원하는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했다.

불청객 적조는 올해도 예외 없이 7월 31일 고성만에서 처음 발생해 이달 초순 남해안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적조 예보 발령기관인 수산과학원은 신속하고 정확한 적조 예보를 위해 올해부터 남해안의 적조예찰범위를 외해역(근해)까지 확대하고, 적조 조사 주기도 단축(격주→매주)시켰다.

특히 적조 예보 체제를 2단계(주의보→경보)에서 적조 생물출현 주의보를 신설, 3단계(출현주의보→주의보→경보)로 세분화해 어업인들의 관심과 사전준비를 독려했다.

적조는 그 발생 원인이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고, 전 세계적으로도 확대되는 추세다. 따라서 육상 오염물질의 바다 유입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은 물론, 적조 방제를 위해 사용하는 황토의 고효율화를 통한 사용량 경감기술 개발과 황토를 대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 적조구제물질 개발 등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절실하다.

중앙정부와 지자체, 어업인 모두가 ‘우리 바다는 내가 지킨다’는 각오로 정해진 규칙을 준수해 건강한 양식산업을 육성하고 해양환경 보전을 위한 연안오염 방지에 힘을 모아야 한다. 그래야 바다를 통해 어업인에게는 희망을, 국민에게는 건강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