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증시 ‘최경환 효과’ 日을 반면교사로

입력 2014-08-08 10: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미정 시장부 기자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취임한 지 곧 한 달째에 접어든다.

최 부총리는 연일 과감한 경기부양 의지를 피력하고 있고, 갈수록 그 강도가 강해지는 모습이다.

‘경제살리기’를 표방한 정부가 최근 41조원 규모의 정책패키지를 담은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한데 이어 후속대책으로 근로소득 증대, 배당소득 증대, 기업소득 환류세제 등 가계소득 증대 방안이 포함된 ‘2014년 세제개편안’을 발표했다.

최 부총리가 이렇듯 경기부양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하자 ‘소득 증가→소비촉진→경기활성화’라는 선순환 효과를 낼 수 있을지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증권시장에서는 벌써부터 ‘초이노믹스’에 대한 기대감으로 배당주와 내수주, 금융주가 급등세다.

지난 3년 동안 2060선 아래에서 맴돌던 코스피지수는 최 부총리 취임 이후 2100선에 다가섰다. 한국은행도 정부의 경기부양책에 부응해 8월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 같은 최 부총리의 정책 방향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일본의 아베노믹스와 여러 측면에서 닮은꼴 행보를 보이고 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취임 직후인 2013년 13조1000억엔 규모의 추경을 편성하는 등 2년간 132조엔의 막대한 돈을 퍼부었다. 아베 총리는 올 초 사실상 강압적으로 평균 2%대의 임금 인상을 끌어내기도 했다.

이에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아베 일본 총리가 취임한 2012년 12월 26일 이후 50% 이상 급등했다. 취임 당시 1만230.36에 불과했던 닛케이는 29일 1만5000선에 올라섰다.

하지만 최근 일본의 ‘아베노믹스’는 한계를 드러내며 곳곳에서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돈을 풀긴 했지만 경제구조 개혁을 외면하면서 반짝 효과에 그쳤고, 그 후유증도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경제구조 개혁보다는 돈 풀기에 집중하고 있는 최경환호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아베노믹스를 벤치마킹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미정 기자 lmj@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