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인구경쟁력 추락…2030년 일할 사람 모자란다

입력 2014-07-11 15: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 인구경쟁력

한국 인구경쟁력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1일 산업연구원의 ‘인구경쟁력의 국제 비교와 정책과제’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인구경쟁력 순위는 29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2010년 17위였다. 그러나 장기적인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오는 2020년 16위로 간신히 올라서지만 2030년에는 21위로 추락할 전망이다. 저출산 현상이 지속하는 가운데 2020년 이후에 인구구조가 가파르게 고령화되면서 경제활력이 떨어지고 부양 부담이 커지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인구경쟁력 지수 가운데 한국의 경제활력 경쟁력 지수는 2010년 14위에서 2020년 21위, 2030년 23위로 하락할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시장에서 취업자의 고령화와 신규 진입 인력의 정체가 맞물리며 생기는 결과다.

한국 인구경쟁력 하락 소식이 전해진 이후 온라인에는 "한국 인구경쟁력 하락은 이미 예견된 수순" "한국 인구경쟁력 하락 배경에 저출산 문제 서려있다" "한국 인구경쟁력, 외국인 노동자 늘어도 인구 경쟁력으로 확보되지 않음"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사회활력 경쟁력 지수도 2010년 17위에서 2020년 4위로 급상승했다가 2030년 21위로 주저앉는다.

2030년이 되면 고령인구의 빠른 증가와 유소년 인구의 감소로 복지환경이 급격히 나빠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