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1.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같은 수치로, 2012년 10월(2.1%) 이후 1년 8개월의 최고치다. 지난달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2.1%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1.7%, 생활물가지수는 1.4% 올랐다.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11월 1.2%, 12월 1.1%, 올해 1월 1.1%, 2월 1.0% 등으로 하향곡선을 그려왔지만 지난 2월 1.0% 상승한 뒤에는 3월 1.3%, 4월 1.5%, 5월 1.7% 등으로 오름폭을 확대했다.
다만 여전히 최근 소비자물가는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2.5∼3.5%)를 밑돌고 있다. 문제는 체감물가다. 유가 등 국제원자재 가격 및 지방선거 직후 가스, 수도, 대중교통 등 공공요금(서비스업 물가)가 오른 것이 지난달 물가 상승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물가가 많이 올랐다는 얘기다.
우선 공공서비스 요금이 상승세다. 도시가스(6.5%), 전기료(2.7%), 지역난방비(5.0%)가 일제히 올라 전기·수도·가스는 작년 동월 대비 4.2%의 상승률을 보였다. 서비스도 1년 전보다 1.6% 올랐다. 1년전에 비해 외래진료비(2.0%), 하수도료(12.4%) 등 공공서비스도 0.7% 올랐고, 공동주택관리비(3.0%), 미용료(5.1%) 등 개인서비스도 1.8% 상승했다. 전세(3.0%)와 월세(1.0%)는 모두 올라 집세는 1년 전보다 2.4% 상승했다.
우유가 11.5%, 가방이 11.3% 오르는 등 의류ㆍ신발과 식료품ㆍ비주류 음료와 각각 4.6%, 1.5% 상승했다. 농축수산물의 경우 돼지고기(20.6%), 국산 쇠고기(8.1%), 달걀(9.9%) 등이 크게 올랐으며 배추(-36.5%), 양파(-43.4%), 마늘(-21.9%)은 1년 전에 비해 크게 떨어졌지만 전달보다는 하락폭을 줄였다.
체감물가는 하반기에 더 악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지난해 하반기 물가 상승률이 1%를 간신히 웃돌 만큼 낮아 기저효과가 있는데다 6·4 지방선거 이후 대기 중이던 공공요금이 오를 가능성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대전지역 도시가스 소요금은 8월부터 평균 0.42% 인상되며 서울시도 5년 만에 하반기 도시가스 요금을 인상키로 했다. 부산은 상수도 요금, 경북과 제주 등은 시내버스 요금 인상을 준비 중이다.
서민물가가 오르면 소비를 위축시켜 경기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특히 공공요금 인상은 다른 시중 물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에서 하반기 ‘내수 디플레이션’을 불러일으키는 위협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