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올해 안산에 '트라우마센터' 만들기로

입력 2014-04-28 08: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예비비 배정 확정되면 연내 설치 가능"

안산 지역에 주민의 정신·심리 치유를 목적으로 '트라우마(정신적 외상) 센터'가 이르면 올해 안에 들어선다. 특정 사고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 관리를 위해 정부가 직접 한 지역에 이같은 전문 기관을 설치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28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관계부처가 조만간 안산 트라우마센터 관련 예산 논의를 할 예정이다. 올해 예산 중 예비비 사용이 확정될 경우 연내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안산 트라우마 센터(가칭)는 안산 지역 피해자와 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등 정신건강 문제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기관으로, '최소 3년이상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고, 10년 이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에 따라 임시 조직이 아니라 상설화할 가능성이 크다.

이 센터에는 정신보건 간호사·사회복지사·임상심리사 등 법정 '정신보건전문요원'들이 상주하며 지역 주민의 정신·심리 치유에 전력할 예정이다.

현재는 명칭상으로 '광주트라우마센터'가 존재하지만, 정부가 특정 사건을 계기로 한 지역에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전문 기관을 마련하는 것은 안산 트라우마센터가 국내 첫 사례로 볼 수 있다.

광주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는 지난 2011년 보건복지부가 각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공모한 정신보건시범사업도시로 선정, 광주광역정신건강센터·광주자살예방센터 등과 함께 시범사업의 한 부분으로서 운영되고 있다.

지역 주인의 광범위한 정신적 상처 치유가 목적이지만, 지역 특성상 5·18 민주화운동 관련자나 고문 등 국가폭력 피해자·가족들의 정신·심리 치유 관련 업무가 많다. 전체 광주 정신보건시범사업 예산으로는 국비와 지방비를 더해 약 130억원 정도가 투입됐다.

정부는 또 이번 사고를 계기로 대형 재난 이후 체계적 정신·심리 지원과 관련 연구를 위해 국립서울병원에 '중앙 트라우마센터(가칭)' 또는 '중앙 심리외상지원센터(가칭)'를 설치·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큰 사고 상황에서 지역건강증진센터 등과 연계해 정신·심리 지원을 총괄 지휘할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지적에 따라 중앙 트라우마센터 성격의 기관·조직도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