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정책 쏟아내지만 시민 한숨 커져
올해도 박원순 서울시장은 시정 중 최우선 과제로 ‘일자리 창출’을 꼽았다. 이에 서울시는 지난달 일자리 종합대책 마련했다. 하지만 알자리 대책이 마련됐다고 해서 끝난 것은 아니다. 모니터링을 통해 추후 보완해 나아가야 할 점을 면밀히 살피고 추가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우선 시민들이 체감하는 일자리에 대해 잘 파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시민들은 지표는 개선되고 있지만 피부에 와닿는 건 없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시는 그동안 ‘OO년도 일자리 OOOO개 창출’, ‘올해 OO분야 일자리 OOO개 발굴’,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노력’ 등의 문구를 내세워 일자리 창출에 대해 나름 노력해 왔다.
반면 시민들은 “고용이 늘었다는데 내 일자리는 어디에”, “기술이라도 있어야 취업을 하지”, “아이 맡길 곳이 없어 육아를 선택하는 수밖에” 등의 불평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대학생 조모(22)씨는 “서울에 회사가 수없이 많지만 취업하기가 쉽지 않다니 믿어지지 않는다”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그동안 시는 각종 일자리 정책을 쏟아냈지만 무엇이 문제였을까. 시는 일자리를 숫자 위주의 양적관리에 치중한 탓이라고 밝혔다. 사회안전망 중심의 공공일자리 정책 위주였다는 지적도 있다.
이는 곧 민간 경제활력 제고와 창업확산 분위기 조성 미흡으로 이어졌다고 시는 스스로 평가했다. 일자리 블루오션을 만들기 위한 정책기반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시는 2014년 서울시 좋은 일자리 6대 중점 과제를 발표했다. 뉴딜일자리, 공공일자리의 대표 브랜드화와 창업지원, 역량있는 미래인재 양성, 새로운 일자리 영역발굴 및 확대, 대상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 근로환경 개선 등이다.
특히 청년창업지원과 새로운 일자리영역 발굴, 대상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이 주목된다. 청년 일자리,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중장년층의 제2의 인생 시작인 재취업 등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본지는 이에 청년과 여성, 어르신, 중장년층 등 연령별에 따른 일자리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진행 상황과 추후 보완돼야 할 점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짚어봤다.
청년 일자리에서는 미스매치 해소와 창업을 통한 고용률 증가가 역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는 각종 취업지원 행사도 좋지만 꾸준한 관리와 연구를 통해 문제점 해결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여성 일자리의 경우는 30대를 중심으로 한 경력단절 여성들의 사회 재진출을 모색하고 일과 가정이 양립했을 때 주는 사회적 효과를 살펴봤다. 또 어르신 일자리는 정규직보다 시간제 일자리를 통한 고용률 상승을 꾀하고, 일자리가 절실한 베이비부머는 재취업을 통한 제2의 인생설계를 꿈꾸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