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SW산업 투자 두 배 늘린다…기술경쟁력 확보

입력 2014-02-27 14: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선도형 SW R&D 추진계획’ 발표

미래창조과학부가 소프트웨어(SW)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투자비중을 두 배로 늘리는 등 SW기술개발 정책을 전면 개선한다.

미래부는 27일 제6차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를 개최하고 창조경제의 핵심인 SW산업을 혁신하기 위한 ‘선도형 SW R&D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추진계획은 지난해 10월 발표한 SW 혁신전략에 담긴 ‘SW 기초체력 강화를 위한 R&D 투자확대’ 정책을 구체한 것이다. 선순환적인 SW R&D 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2017년까지 △SW 기술경쟁력을 80%까지 끌어올리고 △세계 최초·최고의 SW 개발 △세계 시장에서 통하는 글로벌 SW 전문기업 100개 육성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R&D 예산 가운데 현재 3.2%에 불과한 SW 비중을 2017년까지 두 배 수준인 6%로 늘릴예정이다. 또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해 시장에 활력을 불어 넣는다.

우선 ‘SW그랜드챌린지 프로젝트’를 통해 향후 10년 이내에 글로벌 시장을 선점할 대형 과제를 발굴, 지원한다. 민간 투자 위험성이 큰 대형프로젝트를 2017년까지 순차적으로 발굴해 프로젝트 당 최대 1000억원(최대 10년간)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창조경제타운과 연계, 국민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사업화를 위해 ‘SW 공방 플랫폼’을 새롭게 운영한다.

더불어 전략 SW분야에서 세계 3위 이내에 들 수 있는 글로벌 SW 전문기업 육성을 위한 ‘GCS(Global Creative SW)’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미래부는 해당 프로젝트를 위해 민·관 합동으로 2017년까지 4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올해는 총 379억원의 정부지원이 예정되어 있다. △인메모리 기반의 3D DBMS 개발 △영상창작도구 개발 △빌딩모델링 도구 개발 등 총 22개 신규과제를 지원한다. SW기술의 기반이 되는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과기특성화대학, 출연연 등을 중심으로 2017년까지 SW기초연구센터 8곳을 운영할 방침이다.

미래부는 기술개발이 종료된 이후 R&D 결과물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다각적인 대책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공공 R&D 결과물의 휴면 SW기술이 공개 SW로 전환돼 중소기업들이 기술료 부담없이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게 했다. 글로벌 SW 전문기업 포럼도 올해 3월부터 운영, 글로벌화를 적극 지원한다.

미래부 윤종록 차관은 “국민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해 주는 SW야 말로 창조경제의 핵심”이라며 “선순환 SW R&D 생태계가 정립되는 향후 4년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수준의 SW 국가로 대도약하는 전환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