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후폭풍’에 휩싸인 수입차 CEO들

입력 2013-10-18 10: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벤츠코리아 대표 등 위증죄 고발… ‘불공정수익 제한’ 추가 입법 전망도

▲김효준 BMW코리아 대표
수입차업계 대표의 사상 첫 국정감사 출석 파장이 좀 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다. 위증으로 인한 고발이 이어지는가 하면 국회는 수입차 업계의 불공정한 수익을 제한하는 추가 입법을 예고하고 있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 민병두 의원은 국감에 출석했던 브리타 제에거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이하 벤츠코리아) 대표와 임준성 한성인베스트먼트 대표를 위증죄로 고발했다. 이들이 겸직하고 있는 회사를 ‘자신과 상관없다’는 취지로 국감에서 증언했기 때문이다.

민 의원 측에 따르면 제에거 대표는 벤츠코리아 대표이사이자 벤츠파이낸셜서비스코리아 등기임원으로 등재돼 있다. 그러나 제에거 대표는 국감에서 “분리된 별개의 회사여서 자신은 아무런 권한이 없다”고 답변했다.

임 대표는 벤츠의 최대 딜러사인 한성자동차와 “무관하다”고 말했지만 ‘한성자동차 대표이사 회장’ 명함을 가지고 있었다. 또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임 대표가 한성자동차 최고경영자(CEO)이자 한성인베스트먼트의 CEO로 표기돼 있는 것이 밝혀졌다.

▲브리타 제에거 메르세데스 벤츠코리아 대표
민 의원 측은 이들이 순환출자로 엮여 있는 ‘한성인베스트먼트-한성자동차-벤츠코리아-벤츠파이낸셜’의 관계를 부정하기 위해 위증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 회사는 내부 불공정 거래로 자동차금융과 판매에서 폭리를 취한 의혹을 받고 있다.

위증 논란에 대해 벤츠코리아와 한성자동차 측은 “아직 입장을 정리 중이다”고 답했다.

국감에 출석했던 김효준 BMW코리아 대표는 부품값 부풀리기 의혹에 대해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다. 김 대표는 17일 열린 신차 발표회에서 “부품가격 인상은 지난 5년 동안 소비자 물가 상승률의 절반도 안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내년에 서비스센터를 70% 늘리겠다”고 선언했다.

한편, 이번 국감을 계기로 대형 수입차 딜러들의 폭리를 방지하는 입법이 추가로 발의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내년 1월부터 자동차 부품별 가격정보를 인터넷에 의무적으로 공개하도록 했다. 일부 여당 의원들은 자동차 부품의 디자인 특허와 보험 관련 규정을 개선해 부품 가격을 크게 낮추는 입법안을 추진 중이다.

수입차업계 관계자는 “가격 짬짜미, 부품가격 폭리, 금융상품 일감 몰아주기 등은 일부 대형 수입차 업체에만 해당하는 얘기일 것”이라며 “전체 수입차로 확대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