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한가한' 특수은행 구조조정- 김희준 금융부 기자

입력 2013-09-16 13: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융권은 상반기 수익이 반토막 나자 적자점포를 폐쇄하는 등 자구 노력에 나섰다.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7월 “수익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적자점포를 줄이는 등 비용 절감에 나서야 한다”며 금융회사에 자구 노력을 요구했다. 금융권도 글로벌 경기침체 여파 속에 임원 연봉을 삭감하고 예대마진에 치중한 수익구조 개선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실제 7개 시중은행과 6개 지방은행 등 13개 일반은행의 점포 수는 지난해 2분기 46개 늘었다가 3분기 17개, 4분기 14개로 줄였다. 특히 수익 악화에 대한 구구조정의 여파로 1분기 일반은행 점포는 22개 감소했다. 은행당 2개 점포를 축소한 것이다.

인력 규모도 13개 일반은행의 경우 지난해 3분기 589명, 4분기 90명 각각 증가했으나 올해 1분기에는 무려 2803명이나 줄었다. 은행당 216명 줄어든 것이다.

이처럼 일반은행들은 자구 노력에 나서고 있지만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5개 특수은행은 상황이 다르다.

이들 특수은행은 지난해 2분기 13개, 3분기 20개, 4분기 11개 점포가 늘었다. 올해 1분기에는 수익 악화에도 2개 점포 축소에 그쳤다.

특수은행의 인력 감축도 미미하다. 지난해 2분기 850명, 3분기 892명, 4분기 154명 늘었으나 올해 1분기 63명 줄었다. 은행당 12.6명 꼴이다. 216명을 줄여 나간 일반은행과 다른 분위기다.

물론 특수은행의 경우 정책금융을 다룬다는 점에서 일반은행과 단순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는 것도 안다. 하지만 국민의 세금으로 설립한 특수은행이야말로 자구 노력에 앞장서야 한다. 잘하든, 못하든 고임금에 정년 보장까지 해주는 특수은행은 변화에 둔감할 수밖에 없다.

특수은행이 ‘신이 내린 직장’에서 ‘국민도 인정하는 은행’으로 거듭나길 기대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