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이어 한국사대사전도 역사왜곡 논란 “5·18, 유신 국민 지지?”

입력 2013-09-13 09: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사진=뉴시스)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역사왜곡 논란이 한국사대사전까지 번지고 있다.

11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정진후 정의당 의원에 따르면 교학사가 출판한 ‘한국사대사전’에서도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논란과 유사한 우편향 문제점이 발견됐다.

지난 4월 출간된 교학사 한국사대사전은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와 동일하게, 동아일보 창업주인 김성수의 친일경력은 언급하지 않고 ‘일제 작위를 거절했다’, ‘이승만 정권 타도에 앞장섰다’ 등 긍정적 면만을 서술했다.

정진후 의원은 “마치 김성수가 민족운동가이자 민주화 투사의 삶을 살아온 것과 같이 서술했다”며 “친일인사에게 역사적 면죄부를 주는 것은 과거사 청산에 실패한 우리 역사상 또다른 질곡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 의원은 또 “근로정신대와 일본군 위안부는 아예 항목을 달리해 기술해야 하나, 정확한 개념 구분이 되지 않은 채 혼동되게 사용해 심각한 오류를 범했다”고 지적했다.

‘근로정신대’는 미쓰비시 중공업 등 군수공장에서 강제노동을 했던 피해자들이고, ‘일본군 위안부’는 일본군에 의해 성노예로 끌려갔던 피해 여성들(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을 의미하는 서로 다른 개념이다.

교학사 한국사대사전은 제주 4·3사건에 대해서는 “1948년 4월 3일 제주도 전역에서 남조선 노동당 계열의 민간유격대들이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하여 일으킨 폭동사건”이라며 “(미군정청의 진압) 과정에서 폭도 사살 약 8천, 포로 약 7천, 귀순 약 2천, 군경 전사 209, 부상 142, 이재민 9만, 민간 사상자 3만 등의 희생자가 발생하였다고 하였다”고 서술했다.

그러나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주 4·3 사건’을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정의하는 등, 우리 정부는 제주 4·3사건을 경찰에 의해 무고한 양민들이 학살된 사건으로 공식 인정하고 있다.

또한 한국사대사전은 이승만 전 대통령에 대해 “1956년 제3대 대통령선거에 출마하여 투표권자 56%의 지지를 얻어 당선되었다. 1960년 3월 15일에 실시된 제4대 정‧부통령선거에서 80%를 넘는 높은 득표율로 당선됐다”고 서술해 부정선거와 독재에 대한 언급을 교묘히 피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해서는 “(5·16을 통해) 국내외의 신망과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국내적으로는 장면 내각이 해결하지 못했던 4·19혁명의 뒷마무리들, 즉 3·15 부정선거 관련자 처벌, 정치 깡패의 소탕, 부정축재자의 숙정 등을 속결하였다”며 “이로써 민주당 정권의 우유부단과 파벌싸움이 식상하고 있던 국민들로부터 지지를 받게 되었고, 외교적으로는 미국과의 우호관계를 보다 돈독히 하기 위하여 반공노선을 확고히 천명했다”고 서술했다.

정진후 의원은 10월 유신, 5·18 민주화운동 등에 대해서도 비슷한 왜곡이 발견된다고 분석하며 “교학사에서 출판한 한국사대사전 역시 이번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검정본에서 논란이 된 근현대사 내용과 마찬가지로 역사적 사실 은폐나 왜곡이 심각한 상황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들이 믿고 보는 사전이나 학생을 가르치는 교재로 쓰이는 교과서가 편향된 시각을 제공하는 것도 문제지만 객관적인 사실까지도 왜곡하는 것은 간과할 수 없다”며 “헌법정신을 부정하는 반체제적인 교과서이자, 역사 왜곡의 주범인 교학사 교과서는 당장 검정합격을 취소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