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남북공동위, 내일 2차 회의… 재가동 시점 합의될까

입력 2013-09-09 21: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남북은 10일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제2차 회의를 열어 공단의 재가동 시점과 발전적 정상화 방안을 논의한다. 지난 1차 회의 때 불발된 공단의 재가동 시점이 구체적으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아 주목된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주 열린 4개 분과위원회의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개성공단의 발전적 정상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 문제도 논의된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9일 정례브리핑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 것인지는 북측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호응해 오느냐에 달려 있다”면서 “발전적 정상화를 통해 (공단이) 조속히 재개돼야 한다는 것이 우리 입장으로, 중요한 것은 북측이 우리 의지에 호응해 오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재가동의 선결조건으로 내걸었던 서해 군통신선이 정상 복구되면서 개성공단에 들어가는 우리 측 기반시설 점검팀과 관리 인력 일부의 현지 체류도 이날부터 시작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될 경우 남측 인력의 개성공단 현지 체류는 지난 5월 3일 이후 130일만에 이뤄지게 된다.

한편 통일부는 오는 25∼30일 금강산에서 열릴 이산가족 상봉행사시 사용될 남측 상봉단의 숙소 문제에 대한 북한의 협조를 거듭 촉구했다.

북한은 우리측이 남측 이산가족들의 숙소로 요청한 외금강호텔과 금강산호텔의 예약이 찼다는 이유로 5년간 보수가 이뤄지지 않은 채 방치된 선상호텔인 해금강호텔과 규모가 작은 현대생활관을 숙소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우리 측은 안전상의 우려 등으로 난색을 표하면서 외금강호텔과 금강산호텔의 사용을 허용해 줄 것을 거듭 요청했다.

김 대변인은 “현재까지 북측이 명시적으로 다른 의견을 제시한 바는 없다”며 “이산상봉 행사가 원만하고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최대한 협의해서 진행하겠다. 2010년에도 금강산호텔과 외금강호텔에서 했기 때문에 북한도 이해를 하고 협조를 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북측과의 이견과는 무관하게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위한 시설점검 작업은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김 대변인은 “현재 우리 인원 36명이 금강산에 체류하면서 시설 점검 및 보수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내일 39명이 추가로 들어가 인원 교대도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