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硏 "제조업이 살아야 한국경제 안정된다"

입력 2013-09-01 12: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제조업의 순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일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제조업이 살아야 경제가 산다' 란 보고서를 통해 "한국 경제의 특성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의 산업 정책 방향을 고려해 제조업 역할을 재조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의 외화 획득은 대부분 제조업 상품 수출로 이뤄지고 있다"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통해 우리는 제조업에 기반을 두지 않는 경제 시스템이 얼마나 큰 위험에 처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대부분의 제조업 시설을 해외로 이전하고 금융 산업에 의존하던 미국, 영국 등이 금융위기를 맞아 더 큰 어려움을 겪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한국의 총 수출 규모는 719조원으로 이 가운데 87.9%에 해당하는 631조7000억원이 상품 수출이었다.

또 2011년 기준 122조원의 설비투자 가운데 제조업 설비투자가 57%(69조원)을 차지했고, 38조2000억원의 연구개발(R&D) 중 제조업 연구개발이 87.5%(33조4천억원)을 기록했다.

아울러 지난해 기준 총 취업자 2천468만명 중 제조업 취업자수는 410만명(17%) 이었다. 단순 수치로는 서비스업 취업자수가 1711만명(69%)로 더 많았지만 서비스업 대부분이 자기 산업 취업에 국한되는 반면 제조업은 1:2.4의 비율로 다른 산업의 고용을 유발한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주 연구원은 "제조업이 성숙화 단계에 진입하면서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도 사실이지만 제조업은 한국 경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산업"이라며 "제조업의 순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