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전세 2년간 12% 올랐는데...“전세가 1% 오르면 소비 0.18% 감소”

입력 2013-08-15 10:0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세가격이 계속 오르면 민간 소비를 더욱 위축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15일 한국은행의 ‘전세가격 상승이 가계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자료에 따르면 전체 소비자물가의 상승분을 제외한 실질 전세가격이 1% 오르면 민간소비는 장기적으로 0.18%, 단기적으로 0.37% 각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비 대상별로는 전세가가 1% 오를 때 장기적으로 내구재 소비는 0.83%, 서비스 소비는 0.34% 각각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1990년 1월부터 올해 3월말까지 가처분소득, 주택매매가 등 소비에 영향을 주는 나머지 변수를 통제하고 전세가와 민간 소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다.

전세계약은 임대인과 임차인 간에 소득이 이전되는 거래이지만 소득 계층 간 소비성향의 차이, 유동성 제약 등으로 소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평균 소비성향이 높은 중·저소득층에서 소비성향이 낮은 고소득층으로 현금이 이전되면서 소비 감소를 불러온다는 설명이다.

KB국민은행이 매달 조사하는 주택가격 지수 기준으로 7월 말 현재 전국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2년 전보다 12.6% 올랐다. 서울만 보면 10.6% 상승한 상태다.

소비자 물가가 이 기간 2.9% 올라 전국의 실질 전세가는 9.7% 상승한 만큼 한은의 추정이 맞다면 최근 2년간의 전세가격 상승은 장기적으로 민간 소비를 1.7%가량 갉아먹는 셈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