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회담 카드로 압박수위 높이는 민주, 靑 ‘묵묵부답’

입력 2013-08-05 10: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與, 野 요구사항 늘어나는 데 ‘불만’

민주당이 국가정보원 국정조사 파행을 명분으로 장외투쟁에 돌입한 가운데 여야 영수회담까지 요구하고 나섰다. 앞서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지난 3,4일 현 정국을 풀기 위한 박근혜 대통령과의 단독회담을 제안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만남에 대해서는 일단 부정적이다. ‘국정원 댓글 의혹 문제는 국회에서 풀어야 할 문제’라는 것이다. 또 사전협의없는 영수회담은 전례를 찾기 힘들다는 점에서 이번 회담은 성사되기 어려워 보인다.

여야 영수회담 성사여부는 불투명하지만 여야 대표회담은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크다. 새누리당도 여야 대표 회담이 선행돼야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다. 새누리당은 특히 여야 대치 국면에서 굳이 청와대를 끌어들이려는 의도를 의심하면서 민주당의 요구사항이 하나 둘씩 늘어나는 데 대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새누리당 김성태 의원은 5일 라디오방송에서 “민주당은 이미 선을 넘어 박 대통령의 先사과, 국정원 책임자 처벌 그리고 지금 원세훈, 김용판의 이런 출석 증인 문제에 갑자기 권영세, 김무성 의원까지 또 증인으로 채택해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의원은 “이런 부분은 대단히 부당하다. 국회에서 여야 간에 합의에 의해서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가 이뤄진 것이지 NLL 대화록을 갖고 문제 하는 것은 아니지 않으냐”고 반문했다.

이 때문에 여당 일각에선 민주당이 요구사항을 늘리며 국회 정상화까지 시간 끌기에 나섰다는 의혹을 제기한다. 청와대는 민주당의 장외투쟁 흐름을 예의주시하면서도 야당의 요구에 이틀째 침묵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김영환 의원은 같은 프로그램에서 “당장 9월 국회가 되면 여러 가지 경제입법을 해야 되고 정국을 운영해야 될 텐데 여야 관계가 이렇게 경색돼선 박근혜 정부가 국정운영을 제대로 하기가 어렵다”면서 “박 대통령께서는 통 큰 결단을 해야 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야당의 장외투쟁과는 별도로 여야는 이날 오전 10시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사건 국정조사 특위를 열어 국가정보원을 상대로 기관보고에 돌입했다. 특위는 핵심 쟁점인 증인채택은 합의하지 못한 상황에서 기 합의대로 남재준 국정원장의 인사말과 간부소개, 여야 간사 및 간사가 지명한 1인 등 총 4명의 기조발언(각 10분)만 공개한 후 기관보고와 질의응답은 비공개로 진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