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커창 경제개혁 재시동?…“기업 과잉생산 줄여라”

입력 2013-07-26 08: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철강 알루미늄 등 19개 산업 1400여 기업 해당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25일(현지시간) 기업 과잉생산을 줄일 것을 지시하는 등 경제개혁을 바짝 추진하고 있다. 사진은 중국 상하이의 한 야적장에 쌓여져 있는 강관 더미. 블룸버그

리커창 중국 총리가 경제개혁 정책인 이른바 ‘리코노믹스’를 밀어붙이고 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25일(현지시간) 19개 산업의 1400여 기업에 올 9월까지 과잉생산을 중단하며 연말까지 유휴설비를 제거할 것을 지시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철강과 철합금 구리 알루미늄 시멘트 제지 등이 공업정보화부가 생산감축을 지시한 산업이라고 통신은 전했다.

장즈웨이 노무라홀딩스 수석 중국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세부적인 계획 발표는 정부가 진지하게 경제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라면 고통도 감수할 의지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중국 정부는 시멘트 9200만t과 철 700만t 등의 과잉생산분을 줄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공업정보화부는 구리는 65만4400t, 전해 알루미늄은 26만t의 과잉생산분을 감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제조업 과잉생산은 중국 경제가 처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다.

앞서 중국 정부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4조 위안(약 727조원)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실시했는데 그 가운데 상당 부분이 철강과 시멘트 알루미늄 등의 생산용량 확대에 쓰여졌다. 그러나 수출수요 감소와 경기둔화로 이는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하기 시작했다.

리 총리는 지난주 국무원 회의에서 “중국은 성장률과 인플레이션이 제한선 안에 있는 한 경제 구조조정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시 회의에서 리 총리가 성장률과 인플레이션의 구체적인 목표치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올해 중국 정부의 경제성장률 목표는 7.5%이며 물가 안정 목표는 3.5%다. 지난달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2.7%를 기록하는 등 물가는 안정적 상황이어서 성장률이 7% 밑으로 떨어지지 않는 이상 정부는 개혁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노무라는 이번 3분기 중국 성장률 전망을 7.4%, 4분기는 7.2%로 각각 잡아 경기둔화가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의 지난 2분기 성장률은 7.5%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