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이산상봉 제의 하루만에 뒤집기 왜

입력 2013-07-12 09: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겉으론 “개성공단 집중”… 금강산 관광 회담 거부 때문인 듯

북한이 11일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남북 간 회담을 우리 측에 제의한 지 하루 만에 스스로 번복했다. 개성공단 정상화 해결에 우선 집중하겠다는 게 이유지만, 우리 정부가 금강산 관광 회담을 거부한 데 따른 조치라는 분석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이날 “북한이 오늘 오후 6시께 전통문을 통해 2개 회담 모두를 보류한다고 우리측에 통보해 왔다”며 “(보류 이유는) 개성공단 문제해결에 집중하기 위함이라고 알려왔다”고 밝혔다.

북한은 금강산 관광 재개 회담은 오는 17일,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회담은 19일, 각각 금강산 또는 개성에서 개최하자고 10일 제의해왔다.

하지만 북한의 ‘보류’ 결정으로 2010년 11월 이후 3년 만에 이뤄질 것으로 기대됐던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성사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북한이 갑자기 두 회담을 보류하고 나선 배경엔 우리 정부가 금강산 관광 회담을 거부한 데 대한 불만의 표시로 해석된다.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과 같은 인도적 문제보다는 실질적인 수입으로 이어지는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에 더 관심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북한은 결정적일 때마다 ‘이상가족 상봉’ 카드를 꺼내들며 실리를 찾으려는 시도를 해온 바 있다.

통일부는 “순수 인도주의 사안인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에 적극적으로 응해 나올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일각에선 북한의 태도로 미뤄볼 때 15일 개성공단에서 열릴 남북 당국 간 3차 실무회담에서도 개성공단 재발방지책 마련 여부를 두고 강경 입장을 고수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금강산 관광 회담이 불발돼 심기가 더욱 불편해진 북한이 통 큰 양보에 나설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지적이다.

한편 12일부터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물자 반출이 시작됐다. 이날 공단을 방문하는 우리 측 인원은 기계·금속·전기·전자업종 기업 45개사 관계자 132명을 포함, 총 177명이며 차량은 131대다.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현지 방문과 물자 반출은 휴일인 14일을 제외하고 다음 주까지 매일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