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구글 등 IT업체 기밀정보 수집 논란

입력 2013-06-07 15: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국 국가안보국(NSA)과 연방수사국(FBI)이 9개의 주요 인터넷기업의 서버에 접속해 고객의 개인 정보들을 추출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고 6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NSA와 FBI가 접속한 주요 인터넷 기업에는 엄청난 규모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구글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MS)·야후·페이스북·애플·팰토크·AOL·스카이프·유튜브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NSA와 FBI는 프리즘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이들 기업의 서버에 접속해 오디오·영상 채팅·사진·이메일·문서·로그인일지 등 개인의 웹 활동 또는 전체 네트워크 시스템을 추적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지난 2007년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 때 처음 설립된 프로그램 코드명 ‘프리즘’(PRISM)은 아직 공식화하지 않았지만 개인 정보를 포함해 기밀정보를 캐내는 데 탁월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지난 4월 NSA의 전파정보수집관련 부서에서 이 같은 데이터를 분석했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국가 안보를 명분으로 한 미국 당국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논란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앞서 영국 일간 가디언은 비밀 해외정보감시법원(FISC)의 명령문을 인용하며 NSA가 미국 통신회사 버라이즌의 수백만 고객의 통화기록을 비밀리에 수집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