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지표 호조에 힘입어 상승…다우 사상 최고치 경신

입력 2013-05-29 06: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뉴욕증시는 28일(현지시간) 상승 마감했다.

이날 발표된 주택지표와 소비자 신뢰지수 호조가 증시 상승세를 이끌었다.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부양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는 기대도 증시에 힘을 보탰다.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전일 대비 106.29포인트(0.69%) 상승한 1만5409.39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9.74포인트(0.86%) 오른 3488.89로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10.46포인트(0.63%) 상승한 1660.06을 기록했다.

다우지수는 이날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민간경제조사단체 콘퍼런스보드가 집계하는 5월 소비자신뢰지수는 2008년 2월 이후 최고치인 76.2를 기록했다. 앞서 전문가들은 71.0을 기록했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미국 내 20개 도시의 주택가격을 나타내는 스탠더드앤푸어스(S&P)-케이스쉴러 3월 주택가격지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시장 전망치 10.2%를 웃돌았다. 이는 지난 2006년 4월 이후 7년여 만에 큰 상승률이었다.

이날 유럽에서 피터 프랫 유럽중앙은행(ECB) 집행이사가 “추가 부양을 위해서라면 ECB가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수 있다”며 추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한 것도 증시에 호조로 작용했다. 에발트 노보트니 ECB 정책위원도 대출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언급했다.

전날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BOJ) 총재가 기존의 양적완화정책을 유지하겠다는 뜻을 시사해 시장의 기대감을 더했다. 그는 “자산시장 혹은 금융기관들의 투자 과열 신호가 포착되지 않는다”며 “일본 금융 시스템은 금리 상승 등의 충격에 충분한 내성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제임스 폴슨 웰스캐피탈 매니지먼트 투자전략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양적완화 규모 축소에 대해 시장이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에 대해 우려가 있었지만 주택가격이 상승하고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줄어들면서 증시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시장이 안정감을 찾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특징 종목으로는 쥬얼리업체 티파니가 실적호조에 힘입어 4% 급등했다. 전기자동차 제조업체 테슬라모터스는 전기 충전 시설을 확장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에 14% 폭등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