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입주·영업기업인 600명,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나선다

입력 2013-05-22 17: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개성공단 기업인들이 23일로 예정됐던 방북을 포기하는 대신, 입주·영업기업인 400여명이 참석하는 대규모 촉구대회를 열기로 했다.

22일 개성공단 정상화촉구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 관계자는 “비대위 촉구대회를 23일 오전 11시에 열기로 했다”며 “개성공단 기업인 500~600명이 참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북측이 우리 정부를 통해 방북 승인 의사를 전달하지 않고 있다”며 “이번 방북은 무산된 것으로 판단했다”고 방북 포기 이유를 설명했다.

이번 긴급회의에는 85개 개성공단 영업기업도 동참하기로 했다. 이로써 개성공단 123개 입주기업을 포함해 208개 개성공단 기업이 참여하는 대규모 촉구 대회가 열리게 됐다.

개성공단 영업기업연합회 관계자는 “입주기업협회와 방북을 같이 진행하려고 했는데 무산됐다”며 “영업기업연합회도 기업협회와 함께 목소리를 내기로 했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이날 촉구대회에서 지금까지 보였던 모습과는 다른 기조의 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다. 비대위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달 안에 개성공단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시 ‘비대위가 취할 방향’과 ‘북측에 보내는 메시지’ 등이 포함될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성명서에 정부를 향한 발언도 담을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개성공단 기업 관계자는 “개성공단 정상화와 더불어 정부의 적극적인 태도를 요구하는 대정부 내용도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긴급회의에 입주기업을 포함해 영업기업까지 나서는 이유는 시간이 흐를수록 이들 기업의 피해규모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인들은 본격적인 장마철을 앞두고 설비 부식, 자재 유통 기한 문제 등에 대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특히 다수의 입주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설비를 사용할 수 있는 한계 기간을 이달 말로 보고 있다.

대출 중심의 정부대책도 개성공단 기업들의 결집 원인이 됐다. 기업 대표들은 정부의 대출 위주 대책으로는 부도 위기를 막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특별재난구역 지정 등 실효성 있는 대책과 개성공단 정상화를 주문하고 있다. 정부가 기업 대표들의 방북을 허용하는 등 국면 타개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개성공단 기업 관계자는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은 대출 이율이 조금 낮아진 수준이기 때문에 정말 어려운 사람이 아니면 (대출 정책을) 거의 안 쓴다”며 “긴급회의 때 이 부분에 대한 언급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