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의 횡포' 논란속 딜레마 빠진 국민연금

입력 2013-05-10 09: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치권 “남양유업 지분 팔아라”… “시장논리로 판단해야”

‘갑(甲)의 횡포’ 논란을 빚고 있는 남양유업으로 인해 국민연금공단이 딜레마에 빠졌다. 국민연금이 보유하고 있는 남양유업의 지분을 매각해야 한다는 주장이 정치권에서 터져 나왔기 때문이다.

10일 국민연금공단과 정치권에 따르면 신경민 민주당 최고위원은 지난 8일 서울 망원시장 상인연합회 사무실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에서 남양유업에 투자한 국민연금의 투자철회를 요구했다.

신경민 최고위원은 “국민연금이 공적 기관이라면, 공공기금을 부도덕한 기업에 출자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정치권에서 갑작스럽게 남양유업 사태의 유탄이 날아들자 국민연금은 추이를 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국민연금은 남양유업 지분 5.02%(3만6137주)를 보유하고 있다.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 일가(21.56%)와 퍼스트이글오버시즈펀드(5.65%), 아카시아파트너(5.58%)에 이어 넷째로 많은 규모다.

위탁사의 전문성을 믿고 투자 전권을 맡겼기 때문에 국민연금이 남양유업의 지분처리에 직접 개입할 수 있는 여지는 사실상 없다. 국민연금은 다만 모니터링을 강화하며 사태의 추이를 지켜볼 수밖에 없는 처지다.

위탁사가 시장 상황에 따라 스스로 지분을 팔든지 사든지 하는 것이지, 국민연금이 매수와 매도를 지시할 순 없다는 것이다.

물론 국민연금은 기업의 대표가 엄청난 비리에 얽혀 기업가치가 크게 훼손될 우려가 있을 때는 긴급투자위원회를 열어 문제기업에 대한 투자지분을 회수할 수는 있다.

하지만 남양유업 사태는 이런 범주에 드는 사안이라고 판단하기에는 미흡하다고 공단측은 보고 있다. 그런데도 정치권에서는 사회적 물의를 빚은 기업이 이슈로 등장하면 국민연금의 사회적 책임투자론을 거론하며 몰아붙이니 곤혹스러운 표정을 짓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관련 국민연금 관계자는 “투자는 시장논리에 따라 이뤄지는 것이지 정치논리에 좌우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