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건비부터 골재까지 “안 오른 게 없네”…공사비 상승에 공공·민간 모두 ‘삐그덕’[치솟은 건설원가, 공사비 고공행진 언제까지?①]

입력 2024-06-21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건설 원가가 나날이 치솟고 있다. 모든 건설 공사에 쓰이는 모래와 시멘트 가격부터 노동자 인건비까지 관련 공사 원가가 최근 수년간 두 자릿수 상승률을 웃돈다. 공사비 상승의 불똥은 공공과 민간 공사 중단이라는 ‘큰불’로 번지는 모양새다. 건설사들은 공사비 부담으로 공공택지 분양 사업은 물론, 철도와 공항 등 대규모 사회간접자본(SOC) 공사도 외면하기 일쑤다. 공사비 상승에 따른 공사 중단으로 이미 주택 공급 절벽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2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수년간 공사비 증가 영향으로 건설사의 대규모 SOC 사업 기피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당장 서울 강남과 위례신도시를 연결하는 핵심 노선인 ‘위례신사선’은 사업을 맡은 GS건설 컨소시엄이 사업을 포기하면서 사업자 선정 절차부터 다시 밟는다. 지난 2020년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후 자잿값 급등에 부동산 경기 악화가 겹치자 사업에 참여한 건설사들이 포기를 선언한 것이다.

공사비 10조5300억 원 규모 초대형 국책사업인 부산 ‘가덕도 신공항’ 공사에도 건설사들이 등을 돌리고 있다. 정부는 5일까지 공항 공사 입찰을 진행했지만, 건설사는 한 곳도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공사가 어렵고, 기간도 짧아 건설사들이 어려워하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오지만, 근본적으로는 공사비 조정이 어려운 공공공사 특성상 공사비용 상승 시 이에 따른 손실 위험 부담이 크다는 의견이 중론이다.

이 밖에 지난해부터 서울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과 서울 ‘대심도 빗물 배수터널’, 경기 ‘고양 킨텍스 제3전시장’ 등 대형 공공사업이 줄줄이 유찰되고 있다.

본지가 국토교통부와 건설협회에 의뢰해 받은 건설 원자잿값 통계에 따르면, 시멘트값은 이달 기준 톤(t)당 13만16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11만1600원) 대비 12.9% 올랐다. 2년 전과 비교하면 27.0%나 올랐다. 올해 상반기 적용하는 공사현장 근로자의 하루 임금도 일반공사직종 기준 지난해 대비 5.7% 오른 25만8359원이다. 2022년(약 23만 원)과 비교하면 11.8%나 올랐다.

각종 골재 가격도 급등했다. 바다모래(입방미터·㎥, 수도권 평균) 값은 지난해 기준 2만4300원으로 2022년 1만5800원과 비교하면 55.1% 급등했다. 자갈(입방미터·㎥, 수도권 평균) 가격 역시 같은 기간 1만5400원에서 1만8000원으로 16.9%나 올랐다.

특히, 바다모래는 전체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모래 중 약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골재류로 가격 급등은 곧장 건설 원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