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正論]중소기업과 환율 리스크 관리- 정지완 코스닥협회장

입력 2013-05-03 10: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엔저 대책 시급”, “환율 50원 떨어지면 수출액 6.7% 뚝”, “눈뜨고 당한다”. 최근 원화가치가 연일 상승하면서 각종 매체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문구다. 원화 강세 현상은 이른바 ‘환율전쟁’이라 일컫는 주요 선진국들의 경쟁적 통화완화 정책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산업 전반에서 대외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거시적 외부 충격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원화가치의 절상에 따른 수출기업의 피해는 어제오늘의 문제는 아니다. 그 피해가 더 심각해질 우려가 있다. 최근 주요 선진국의 통화완화 정책과 더불어 경상수지 흑자로 인하여 향후 추가적으로 원화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문가들이 예측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위험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대기업과는 달리 대다수의 중소기업은 환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 최근 조사된 바에 따르면 수출 중소기업의 10곳 중 3곳이 별다른 대책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응책을 가지고 있는 기업마저도 원가절감을 통해 대비한다는 응답이 절반 이상이었다. 과거 키코(KIKO) 사태의 악몽이 아직도 기업들의 뇌리에 뿌리 깊이 남아있는 탓이 클 것이다. 특히, 연간 35조원 가량을 수출하고 중소·중견기업이 90%를 차지하는 코스닥기업들의 경우 이같은 환위험이 더욱 민감한 사안일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정부와 금융기관에서는 수출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펴고 있다. 정부에서는 중소기업 자금지원, 환위험 관리 및 지원 등 다양한 방안들을 내놓고 있고, 금융기관들은 중소기업의 선물환 보증금 인하, 중소기업 환위험 전담부서 구성 등을 통해 지원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조사된 자료에 따르면 여전히 수출 중소기업의 90% 이상이 환율로 인한 피해를 보고 있다. 정부와 금융기관의 지원정책들이 환위험관리시스템과 관련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에게는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환위험 관리 전문가들은 흔히 중소기업에게 필요한 관리기법으로 “수출채권 회수기간 단축”, “수입 및 수출대금의 통화 일치”, “수입채무와 수출채권의 상계”, “선물환 거래를 통한 환헷지” 등을 조언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조언하는 여러 가지 대응책을 해당 기업의 특성에 맞게 효율적이고 적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환위험관리시스템의 구축이 우선되어야 한다. 관련 시스템 구축을 통해 기업 스스로 상시적인 모니터링 및 적시 대응을 통해 환율 변동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정부 및 금융기관의 지원이 자금지원, 환헷지 거래의 비용 인하 등의 단기적인 지원정책이 아니라 내부적 환위험 관리를 통해 기업의 체질 개선과 효율적으로 환위험을 관리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지원정책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일각에서 논의되고 있는 것처럼 전문인력과 관련 시스템이 미비한 중소기업들의 환위험을 공동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외부기관에서 마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물론 선결 과제는 중소기업 스스로 당면한 문제에 대한 확고한 자각이다. ‘환율이 언젠가는 오르겠지. 원가절감으로 버티자.’라는 주먹구구식 대응은 기업 스스로 환위험 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어 장애요소이다. 기업 스스로 환위험 관리의 필요성을 실감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한다면 정부 및 주요기관들의 지원정책과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 선진국의 경기부양 정책 여파에 따른 국내 수출 중소기업의 고전은 이미 예견된 결과이다. 기업의 경영환경은 언제나 불확실하다. 불안정한 환율변동이 계속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체계적인 환위험관리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중소기업들 스스로 자생력을 키울 수 있도록 정부의 현실적인 지원책과 더불어 기업 스스로의 적극적인 대응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