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총재 “금리인하 효과 중장기적으로 봐야"

입력 2013-04-19 07:24수정 2013-04-19 07:4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18일(현지시간) 경기진작을 위한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통화정책은 최소한 6개월, 길게는 1년을 봐야 한다”고 밝혔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등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김 총재는 이날 워싱턴특파원단 간담회에서 이같이 지적한 뒤 “그 효과를 보면서 필요하면 또 (금리 조정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중앙은행으로서는 경제를 중장기적(over the medium term) 관점에서 판단해야 한다”면서 “국가의 잠재성장률은 중장기를 보는 것이지 당장 내일을 보는 게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김 총재는 또한 이미 지난해 7월과 10월 2차례에 걸쳐 금리를 0.5%포인트 내려서 어느 정도 통화정책을 이완했다며 "민간에서 돈이 없다면 돈을 내겠지만 지금은 그런 상황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다만 지금 당장 어려운 곳이 어디냐를 살펴보니 중소기업이라고 해서 3조원 규모에 달하는 총액대출한도 확대라는 엄청난 조치를 내놓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김 총재의 이같은 발언은 최근 당·정·청이 기준금리 인하를 공개적으로 압박하고 있는 것에 대한 답변으로 해석된다.

김 총재는 또 1% 미만의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는 미국, 유로권, 영국, 일본 등을 언급하며 “이른바 양적완화를 하는 이들 나라는 기축통화국으로, 우리가 거기에 따라가기는 어렵다”고도 했다.

그는 다만 “추경을 함으로써 국채를 발행하면 금리가 많이 올라갈 상황이 있을 수도 있는데 모든 경제상황이 어려운데 중앙은행만 모른 척할 수는 없다”면서 “지금은 정부와 정책기조는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보면 된다”고 강조했다.

김 총재는 기준금리를 둘러싼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의 '불편한 관계'에 대해 “사적으로는 더는 가까운 사람이 많지 않을 정도로 30년간 계속 만나왔다”면서 “공적인 부분에서는 정부는 정부 나름대로 분석이 있고 우리도 그렇기 때문에 그렇게 조화를 이뤄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재는 이밖에 한국 경제의 디플레이션(deflation) 및 저성장 고착화 우려에 대해서는 “현재 디플레이션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면서 “실질 성장이 오랜 기간 낮아지면 성장잠재력이 훼손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분명히 걱정해야 할 부분”이라고 언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