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홈페이지, 장애인 이용에 불편…공공기관과 차이 커

입력 2013-04-14 11: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민간 웹사이트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장애인 이용에 불편이 많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2012년 정보접근성 실태조사’ 결과 장애인 웹접근성이 공공기관과 민간부문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미래부는 공공기관, 민간 등 709개의 웹사이트 및 모바일 앱을 대상으로 정보접근성 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는 90점이 넘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정부, 공사·공단, 문화예술, 교육기관의 홈페이지는 80점대로 장애인의 웹 접근성이 보통으로 조사됐다. 의료시설, 지방공사, 복지시설의 홈페이지는 70점대로 나타났으며, 민간분야 홈페이지는 66.6점을 기록하며 미흡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앱의 경우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공사·공단, 민간분야는 각각 73.4점, 70.0점, 69.0점, 64.5점을 기록해 장애인의 모바일 정보접근 수요에 부응하는 앱 접근성 개선이 요구됐다.

미래부는 지난 11일부터 모든 법인의 웹 접근성 준수 의무화에 따라 실태조사 결과를 해당 기관에 통보해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개선하도록 하고 장애인 정보접근성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특히 올해에는 국가정보화기본법에 웹 접근성 품질인증제도의 법적 근거를 마련해 다수 인증기관의 웹접근성 인증제도 운영에 따른 혼란을 방지하고 웹사이트의 정보접근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아울러 ‘웹 접근성 지킴이’를 양성 운영해 중소기업, 소상공인 및 소규모 비영리기관의 웹 접근성 개선을 지원하고 민간·공공기관 등의 웹 접근성 관계자를 대상으로 순회교육 및 방문교육을 추진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