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약한 글로벌 경기회복세, 원고·엔저, 보호무역 등에 따른 수출회복 약화가 주된 요인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 성장률을 2.9%로 전망했다.
한경연은 6일 ‘KERI 경제전망과 정책과제’를 통해 지난해(2.0%)에 이어 2년 연속 3% 미만의 저성장세를 이어간다는 전망치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과거 추세보다 낮은데다 원고·엔저현상,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으로 수출증가세가 한 자리 수에 그칠 것이란 점을 저성장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했다.
또한 가계부채 부담, 주택가격 하락, 경기부양 정책추진의 제약 등을 고려할 때 내수부문의 성장 견인도 한계가 있다고 내다봤다. 민간소비의 경우 가계부채 부담, 고용증가세 둔화, 주택시장 회복 지연 등 제약요인의 영향으로 2.4%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설비투자는 대내외 수요전망이 불투명한데다 경제민주화 관련 정책논의 등으로 투자심리회복이 지연되면서 3%대의 완만한 회복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투자는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증가, 기저효과 등에도 불구하고 민간주택건설 부진 지속으로 2.2%의 낮은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한경연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 한해에도 2%대의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공공요금, 식품가격 인상이 시차를 두고 물가에 영향을 미치겠지만 대내외 수요회복이 빠르지 않고 원화가치가 상승하면서 파급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설명이다.
경상수지 흑자는 원화상승의 영향으로 수출보다 수입이 더 빠르게 증가하고 서비스수지도 다시 적자로 반전되면서 지난 해 431억 달러에서 301억 달러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원·달러 환율은 하락기조가 이어지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하락 폭이 둔화되면서 연평균 1065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경연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침체 완화, 경상흑자 지속, 국가신용등급 상승 등의 환율 하락압력을 국내 외국자본 유출가능성, 북핵 실험 관련 리스크, 당국의 환율 정책 등의 상승요인들이 제약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