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배구 원로는 구단 프런트에 대해 “그저 회사원일 뿐”이라며 허탈한 웃음을 짓는다. 해당 종목에 대한 전문지식이 전혀 없는 근로자에 불과하다는 설명이다. “자기 몸 사리기도 벅찬 사람이 구단의 발전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라는 푸념 섞인 발언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미국이나 일본 혹은 유럽의 프로 스포츠구단들을 국내 프로구단들과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는 없다. 자연스럽게 저변을 넓혀가며 필요에 따라 프로스포츠로 발전한 경우와 국내는 경우가 엄연히 다르다.
국내 프로스포츠단은 구단 실무진이 기업인으로 이루어져 있다보니 각 프로스포츠 연맹의 총재나 협회장도 선수 출신이 맡고 있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정치인 혹은 기업인이 맡는 경우가 많다. 일부 종목에서는 정치 논리에 따라 현직 정치인 혹은 정당인이 협회장이나 연맹 총재를 겸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종목의 발전을 위해 수장이 힘을 온전히 쓸 수 없다. 물론 해당 종목의 발전을 위해 힘쓰는 경우도 없진 않다. 하지만 정치인이 수장직을 맡을 경우 어느 쪽에 더 집중하게 될 것인지는 굳이 따져볼 필요도 없다.
최근 여자배구는 이른바 김연경 사태로 홍역을 치렀고 이는 여전히 진행중이다. 지난 해 시즌을 준비 중인 상황에서 김연경은 터키에서 국내로 들어와 국정감사장에서 자신의 상황을 변호해야 했다. 대선과 맞물려 여당 정치인이 협회장직을 맡고 있는 배구협회를 야당 쪽에서 흔들기에 나섰다는 말이 배구인들 사이에서는 팽배했다. 실제로 당시 김연경 사태는 별다른 결론을 내지 못한 채 끝났고 최근 이를 다시 논의해야 했다. 물론 아직도 이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최근 야구에서도 정치적인 논리로 표류중인 문제가 있다. 제9구단 NC다이노스의 홈구장 문제다. 당초 창원에 새 구장을 짓기로 했지만 마산 창원 진해의 통합창원시청 유치가 우선 순위로 떠오르며 새 야구장은 당초 계획과 달리 접근성이 떨어지는 진해에 유치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혀가고 있다. 문제는 토지 소유권이 2014년에야 통합창원시로 넘어오는 만큼 2016년 3월까지 완공하기로 한 새 야구장 건설은 지켜질 수 없다는 것이다. NC는 창원시의 말만 믿고 한국야구위원회(KBO)에 100억원의 예치금을 냈지만 이를 고스란히 날릴 수도 있게 된 상태다. 결국 창원과 마산간의 힘겨루기로 새 야구장 건설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채 NC만 난감해진 셈이다. 정치적인 논리에 의해 피해를 보게 된 또 하나의 사례다.
경기인 출신이라 해서 모두가 순수하고 올바른 결정을 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하지만 정치적인 논리로 인해 스포츠가 피해를 보는 일은 없어야 한다. 정치인에 대한 인식 자체가 국민들에게 신뢰감을 전혀 주지 못하는 현 상황에서 스포츠 조차 정치인들의 논리에 따라 좌지우지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정치인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는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